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불러온 고용위기 강진이 3개월째 계속되고 있다. 정부 일자리사업으로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취업자가 늘었지만 전체 취업자 감소세를 꺾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고용률도 곤두박질쳤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취업자는 2천693만명으로 1년 전보다 39만2천명 감소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2%로 1.3%포인트 하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4.8%로 같은 기간 1.3%포인트 떨어졌다.

무직자 증가세도 이어졌다. 실업자는 13만3천명 늘어난 127만8천명으로 나타났다. 일자리를 찾을 의지도 없고 취업도 하지 않은 이를 일컫는 비경제활동인구는 55만5천명이 늘어 1천654만8천명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가 임시·일용직 등 취약계층에 더욱 가혹하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상용직은 1년 전보다 39만3천명 증가했지만, 임시·일용직은 65만3천명이나 감소했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20만명 줄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11만8천명 늘었다. 한계기업은 퇴출되고, 특수고용직·프리랜서·소규모 자영업자 등을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업종별 취업자는 도· 소매업(-18만9천명), 숙박·음식점업(-18만3천명), 제조업(-5만7천명) 등에서 많이 줄었다.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3만1명)과 농림어업(5만4천명), 운수·창고업(5만명)은 증가했다.

코로나19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영업일수나 명절 같은 변동효과를 반영한 계절조정지수를 분석했더니 고용위기 상황은 4월보다는 다소 완화했다. 코로나19 영향이 나타나기 전인 2월 계절조정 취업자는 2천752만2천명이었는데, 4월에는 2천650만4천명이었다. 지난달에는 다소 늘어 2천665만7천명으로 나타났다. 2월과 비교해 4월에는 취업자가 101만8천명까지 감소했다가, 5월에는 86만5천명으로 반등했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은 “5월 사회적 거리 두기가 완화하고 정부가 추진하는 노인일자리 사업이 재개되고 재난지원금 지급이 확정되면서 소비 진작 효과가 있었다”며 “정부 정책 효과가 있었지만 기대에는 못 미쳤고 고용위기는 계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