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만든 고용위기 불씨가 서비스업에서 제조업으로 옮겨붙고 있다. 기술혁신과 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한 제조업 일자리 변화가 코로나19를 맞아 가속하는 형국이다. 제조업 산업재편 과정에서 예상되는 고용위기에 정부가 미리 대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8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5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는 352만9천명으로 1년 전보다 5만4천명 감소했다. 1998년 1월 외환위기 당시 10만명이 줄어든 이래 가장 큰 폭의 감소다.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는 지난해 9월부터 9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다. 감속 폭도 2월(2만7천명)·3월(3만1천명)·4월(4만명)을 지나며 매달 커지고 있다. 권기섭 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은 “제조업 고용상황은 미국·유럽연합 등 주요 수출국의 코로나19 진정 추이와 국제 공급망 회복 속도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조금 더 안 좋아질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고 전망했다.

서비스업 고용위기는 진정국면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서비스업 고용보험 가입자는 943만7천명으로 지난해 같은달보다 19만4천명 증가했다. 증가 폭은 4월(19만2천명)보다 커졌다. 가입자 증가세는 보건복지업이 이끌었다. 10만명이 증가했다. 노동부는 학교 개학 영향으로 돌봄서비스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일자리 사업이 본격화화면서 공공행정(4만3천명)이 고용보험 가입자가 증가를 떠받쳤다.

지난달 구직급여(실업급여) 신규 신청자는 11만1천명으로 1년 전(8만4천명)보다 2만7천명 증가했다. 4월(12만9천명)보다는 1만8천명 줄었다. 구직급여 신청자는 코로나19가 크게 확산하던 3월(15만6천명) 정점을 찍은 뒤 두 달 연속 감소했다. 구직급여 신청자 감소가 고용상황이 좋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권 실장은 “실업을 억제하기 위해 고용유지지원금 제도를 강화했고 그 효과가 나오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정부 지원금을 받아 유급휴직을 주는 방식으로 고용을 유지하는 기업이 많다는 얘기다. 실제 지난달 고용보험 자격 상실자는 43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7만9천명 감소했다. 코로나19 이전보다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가 되레 줄었다. 지난달 전체 고용보험 가입자는 1천382만명으로 같은 기간 15만5천명 증가했다.

노동계는 코로나19 고용위기가 제조업으로 확산하는 것에 정부가 대응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송보석 민주노총 대변인은 “이전에도 감소 흐름이 있었으나 코로나19에 따른 수출 저하 등으로 상황이 매우 심각해지고 있다”며 “정부는 제조업 일자리 위기 대책 마련을 위해 양대 노총 제조연대와 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