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 광양제철소 협력사노조대표자협의회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또다시 폭발사고가 발생해 5명이 크고 작은 부상을 입었다. 포스코가 안전혁신 비상대책TF를 만들고 1조1천억원 안전투자 계획을 밝혔지만 노동자들은 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는 비판이 높다.

25일 광양경찰서와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24일 전남 광양시 금호동에 있는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폭발사고가 일어났다. 광양제철소 포스하이메탈공장에서 이날 오후 1시14분께 두 차례 굉음과 함께 시꺼먼 연기가 하늘로 솟구치면서 화재가 났다. 이 사고로 현장에서 근무하던 포스코ICT 노동자 3명과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직원 2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당시 이들은 제철소 페로망간공장 옆 발전기 축열설비를 시험가동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설비를 시험하던 중 냉각수 온도가 올라가면서 폭발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사고로 발생한 파편이 인근 이순신대교로 날아가 난간이 휘고 도로가 파였다.

포스코는 지난해 5명의 하청노동자가 산업재해로 숨져 양대 노총과 노동건강연대·매일노동뉴스가 공동주관하는 ‘최악의 살인기업 선정식’에서 공동 3위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올해도 포스코에서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올해 들어 알려진 포스코 산재사고만 10건이다. 4명이 사망하고 20여명이 다쳤다.

이번 사고가 발생하기 나흘 전에는 포항제철소에서 D2크레인이 폭발하는 사고로 화재를 진화하던 노동자 10여명이 병원에 후송됐다. 이때 포스코는 사내 소방대원만으로 화재 초기진압을 한 뒤 기본적인 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작업을 강행해 논란이 됐다.

금속노조 관계자는 “당시 화재사고가 났던 공정과 작업에 대한 안전작업계획서가 제대로 작성됐는지, 화재장소에서 잔류 유해가스가 다 배출됐는지 같은 기본적인 화재폭발 예방조치 없이 작업을 재개했다”며 “포스코에서 비슷한 산재사고가 반복되는 이유는 안전조치가 없는 상황에서 노동자가 일하다 다치거나 사망해도 쉬쉬하기 급급할 뿐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사고가 발생해도 철저한 원인규명과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채 포스코가 작업재개만 다그친 결과라는 설명이다.

위험업무를 떠맡는 포스코 하청노동자들도 불만이 높다. 박옥경 포스코 광양제철소 협력사노조대표자협의회 의장은 “원청이 모든 책임을 하청업체에 떠넘기고 있다”며 “원·하청 노사가 공동으로 위험설비를 진단하고 환경을 개선하는 공동 논의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지난해 안전 분야에 1조1천억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7월에는 안전혁신 비상대책TF를 출범했다. 그러나 산재 예방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노동계는 “전쟁터보다 위험한 일터가 된 포스코에 전면적인 안전보건진단을 실시하고 노동자 참여가 보장된 재해 근절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