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윤정 기자
노동계가 현물·재능 기부를 뛰어넘어 주거·복지·교육 같은 지역·사회 의제에 개입하는 방향으로 사회연대전략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가 21일 오후 서울 중구 모임공간 상연재에서 개최한 ‘노동조합의 사회연대전략’ 노동포럼에서다.

“독립적 사회연대기구 통해 지역·사회에 개입”

허인 한양대 겸임교수(경영학)는 이날 ‘울산지역 사회연대활동 확대 전략’ 주제발표에서 “조합원들은 지역의 고용과 복지·의료 이슈에 관심이 많고 사회연대활동 확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허 교수가 지난 6~7월 민주노총 울산지부와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현대중공업지부, 비금속노조 소속 조합원 95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4개 단위 조합원들은 '울산지역에서 필요한 복지시설'로 공공병원 설치(최저 17.2%~최고 29.0%)를 가장 많이 꼽았다. 노동복지센터와 국공립어린이집, 공영주차장 설치도 상대적으로 많이 택했다. 조합원의 84.3%~90.2%는 "노조의 사회연대전략 확대가 필요하다"고 답했고, 77.1%~84.0%는 사회연대활동 참여의사를 밝혔다. 42.3%~48.8%는 "사회연대사업 전담 사회적기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허 교수는 “노조는 계급 간 연대영역에서 가능한 모든 의제에 개입하고 영향력을 확대해야 한다”며 “기존 현물·재능 기부 중심 활동 외에 시민과 조합원이 요구하는 지역의 필요사회서비스 문제에 역량을 투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독립적인 사회연대기구를 설치해 전담자가 사회연대사업을 담당하게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미조직·환경·부동산 등 공공의 이익 조화시켜야”

이명규 연구소 부소장은 ‘노동조합 주도 재단(기금)의 유형과 함의(한국·캐나다·독일)’ 주제발표에서 “사회연대전략으로서 재단(기금)의 목표는 노조 이외 다양한 사회운동 세력과의 연결, 이해대변 조직이 없는 주체를 위한 인큐베이터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부소장에 따르면 독일노총(DGB)이 참여하는 한스뵈클러재단은 사회연대기금으로 친노동 연구자를 양성하는 장학사업을 한다. 장학금 수혜자는 다시 사회연대기금에 참여한다. 독일 금속노조(IG Metall)가 참여하는 오토브레너재단은 노조 문제와 국제적 상호이해·사회 정의·환경 보호·생활조건 개선 사업을 한다.

캐나다 퀘벡주 1노총(FTQ)이 참여하는 연대기금과 같은 지역 2노총(CSN)이 참여하는 행동기금은 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책임, 노동자 은퇴준비 같은 이슈에 관심이 많다. 이 부소장은 “재단(기금)이 조합원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사업을 발굴하고, 미조직·비정규·환경·교육·부동산 등 공공의 이익을 어떻게 조화시킬지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사회연대전략, 추락한 노조운동 신뢰회복 밑거름”

토론자들은 노조의 사회연대전략 확장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하부영 금속노조 현대차지부장은 “지난 30년간 대공장 노동운동은 ‘부자 되기 운동’으로 방향을 상실했다”며 “사회 불평등과 빈부격차, 노동자 양극화 해소를 위한 실천활동으로 사회적 고립을 극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현정 사무금융노조 위원장은 “기업별 교섭에 고착된 현재의 노동운동을 벗어나 새로운 노동운동 노선을 천명해야 한다”며 “사회연대전략을 통해 사회대개혁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형균 금속노조 현대중공업지부 정책실장은 “실질적 산별조직체계를 완성해 나가야 한다”며 “주거·교육·의료·실업·연금 등 보편적 복지 향상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광훈 공공운수노조 연대사업실장은 “산별노조운동과 정치세력화는 동력이 상실된 상태”라며 “사회연대라는 새로운 운동전략을 통해 실마리를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석호 전태일재단 기획실장은 “사회연대전략은 노조운동의 추락한 사회적 영향력과 신뢰도를 회복하는 수단”이라며 “전 사회적 임금·고용·복지·투쟁 연대로 가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