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성화고등학생 권리 연합회는 3일 정오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90주년 학생독립운동 기념일을 맞아 기자회견을 열고 양질의 일자리 확대와 노동인권교육 강화를 포함한 6대 대정부 요구안을 발표했다. <특성화고등학생 권리 연합회>
특성화고교 졸업생과 재학생들이 양질의 일자리와 노동인권교육 전면 확대를 정부에 요구했다. 고교 졸업 뒤 학력차별로 인해 겪는 구직·이직의 어려움을 해소할 대책도 주문했다.

특성화고등학생 권리 연합회는 3일 정오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90주년 학생독립운동 기념일을 맞아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6대 대정부 요구안을 발표했다. 전국에서 모인 특성화고 졸업·재학생들이 기자회견에 함께했다. 이들은 특성화고 출신이 사회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으려면 △양질의 고졸 일자리 확대 △교내 실습실 안전 보장 △특성화고 차별정책 개선 △졸업 후 사회안전망 확보 △노동인권교육 전면 확대 △학생 정책 참여 보장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인천의 한 특성화고에 재학 중인 학생은 "우리학교는 지난해 취업률이 74%였지만 올해는 56%로 크게 줄었다"며 "현장실습제도 때문에 취업을 못하고 졸업하는 사례가 늘고 있고, 정부는 학생들의 노동이 정당하게 인정받고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의 한 학생은 "특성화고에 진학하고 나서 학생을 보호해 줘야 하는 학교가 되레 학생들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보호장비를 지급하고 노후 시설을 고치는 것 이외에도 실습실에 보건 용품을 비치하거나 선생님들이 안전예방 교육을 하는 등의 다양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학교에서 진행하는 노동인권교육의 내용과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연합회 운영위원 박지수 학생은 "강사가 주입식으로 가르치는 노동교육은 학생들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교육을 하고, 교육시간과 양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졸업생들은 졸업 이후 정부·학교에서 버림받아 사회의 구석으로 밀려나고 있다고 증언했다. 김수진씨는 "취업을 못해 마지못해 대학에 진학하고, 취업이라는 산을 넘어도 열악한 노동환경과 고졸 차별이라는 큰 산 아래 놓이게 된다"며 "100만원짜리 전자기기도 1년 동안은 무상으로 서비스를 해 준다는데 정부와 학교는 특성화고 졸업생에게는 아무런 지원을 해 주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정부에 "특성화고 재학·졸업생 관련 대책을 수립할 때 당사자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