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가 1년 전보다 35만9천개 증가했다. 50~60대와 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서 일자리 증가를 주도했다. 40대와 건설업에서는 일자리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18년 4분기(11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동향’에 따르면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1천849만4천개로 전년 동기보다 35만9천개 늘었다. 일자리 증가 폭은 지난해 1분기 31만5천개에서 2분기 24만5천개, 3분기 21만3천개로 떨어졌다가 4분기에 회복한 모양새다. 

임금근로 일자리 10개 중 7개(67.1%·1천240만8천개)는 동일한 노동자가 계속 일하는 지속적인 일자리였다. 나머지는 퇴직·이직으로 대체된 일자리(17.6%·324만7천개)와 사업(체) 생성·확장으로 생긴 신규 일자리(15.4%·284만개)였다.

산업별로 보면 1년 전에 비해 보건·사회복지(11만4천개)와 도소매(9만2천개)에서 일자리 증가세가 뚜렷했다. 보건·사회복지 일자리는 사회복지서비스업(7만3천개)과 보건업(4만1천개)에서 모두 증가했다. 반면 건설업(-9만6천개)과 사업·임대(-3만8천개)에서는 감소 폭이 컸다.

일자리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에서는 일자리 1만2천개가 줄었다. 자동차와 조선에서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제조업 소분류로 따지면 자동차 신품 부품(6천개), 전동기·발전기(7천개), 선박 및 보트 건조업(7천개)에서 일자리가 감소했다. 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의료·보건 인력 수요 증가로 50~60대 여성 위주로 일자리가 늘어났고, 제조업과 건설업은 경기 둔화와 구조조정 여파로 일자리가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일자리 형태를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에서 지속일자리 비중이 75.7%로 가장 높았다. 서비스업 지속일자리 비중은 67.5%, 건설업 지속일자리 비중은 43.6%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40대에서 2만6천개 감소했다. 반면 50대(16만6천개), 60대 이상(15만1천개), 20대 이하(5만6천개), 30대(1만2천개)에서는 모두 증가했다. 남성 일자리는 7만5천개, 여성 일자리는 28만3천개 늘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