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가 추진해 시행된 증권시장 거래시간 연장이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노동자들의 노동시간만 늘린 실패한 정책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무금융노조는 24일 보도자료를 내고 “한국거래소가 거래시간 연장을 위해 앞세운 이유가 모두 예상과 어긋나고 있다”고 밝혔다. 거래소는 2016년 8월1일 증권시장과 파생상품시장 거래시간을 연장했다. 거래시간은 기존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에서 오전 9시에서 오후 3시30분으로 30분 늘었다. 거래소는 유동성 증가로 인한 일평균 거래대금 상승과 중화권 시장과의 중첩 강화를 이유로 들었다. 그런데 실제로는 거래대금이 줄어드는 추세다. 노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을 합한 일평균 거래대금은 9조4천424억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13조7천515억원)에 비해 31.3%나 감소했다.

거래시간이 연장된 이후인 2016년 4분기 이후 일평균 거래대금은 2018년 2분기 13조9천110억원으로 고점을 찍은 뒤 하향세를 타고 있다. 연간 단위로 봐도 유가증권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2011년 최고점을 달성한 뒤 아직 그 기록을 넘지 못하고 있다. 중국증시와의 동조현상도 오히려 약해졌다. 2015년 6월부터 2016년 2월까지의 코스피지수와 상해종합지수 간 상관계수는 0.7이었다. 상관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두 지수의 변경 경로가 유사하다는 뜻이다. 그런데 최근 8개월 사이 상관계수는 0.42로 거래시장 연장 전보다 낮았다.

노동시간은 늘었다. 노조가 지난해 증권노동자 2천58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증권 거래시간 연장 이후 응답자의 71.8%가 “시간외노동이 늘었다”고 답했다. 이 중 "1시간 이상 시간외노동을 하고 있다"고 답한 노동자들은 52.6%였다.

노조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와 금융위원회, 거래소 등 관련 기관들이 추진한 거래시간 연장이 내실 없는 ‘쇼’에 불과했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올해 증권노동자를 포함해 거래소와 투자자를 대상으로 거래시간에 관한 여론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정치권과 협상해 거래시간을 예전으로 되돌린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