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지점 10곳 중 6곳 이상이 수도권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와 지역 사이의 금융서비스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7일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광역시도별 점포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해당 자료에는 2017년 말 기준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SC제일·기업·NH농협·씨티은행 등 8개 시중은행의 지점과 출장소 위치를 분류한 결과가 담겨 있다.

김 의원 분석에 따르면 서울과 경기·인천·대전·대구·부산·광주·울산 등 수도권이나 광역시에 위치한 지점수가 전체 5천617곳 중 4천384곳으로 78%를 차지했다. 수도권 집중도가 특히 높았다. 서울에 전체 지점의 35.3%(1천983곳)가 몰려 있었다. 경기(21.9%·1천232곳)와 인천(4.9%·278곳)을 더하면 전체 은행 지점의 62.1%가 수도권에 모여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광역자치단체별로 보면 경기도를 제외한 지역은 5%를 채 넘지 못했다. 경기도에 이어 경남(4.2%)·경북(3.5%)·충남(3.2%) 순이었고, 나머지 지역은 2.5%를 넘지 못했다.

은행 지점이 가장 적게 분포한 곳은 제주로 전체의 0.8%(48곳)에 불과했다. 제주에 이어 전북이 2.1%(122개)로 적었다. 서울에는 인구 4천971명당 지점이 1곳꼴이었지만 전북은 1만5천201명당 1곳꼴에 불과했다.

김병욱 의원은 “지점수가 줄어들면서 시중은행들은 비대면 서비스에 집중하며 금융서비스 불편을 감소시키려 노력하고 있지만 정작 온라인이나 모바일 등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기 쉽지 않은 고령자 비율은 비수도권 지역이 훨씬 높다”며 “은행 지점 운영과 폐쇄가 기본적으로 은행 자율 사항이기는 하지만 비대면 서비스로 해결이 안 되는 문제들을 어떻게 풀어 나갈 것인지는 공공성을 가진 은행권이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