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노조
서울대가 정부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 정책이 시행된 지 1년 반이 지나도록 기간제 노동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하지 않아 비판을 받고 있다.

대학노조는 16일 정오 서울 관악구 서울대 본부동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대는 국립대 중에서도 막대한 국민 세금을 지원받는 학교임에도 정규직 전환이라는 사회적 책무를 다하지 않고 있다”며 정규직 전환을 촉구했다.

서울대에 따르면 학교는 2017년 8월 기간제 노동자의 정규직 전환을 위한 심의위원회를 구성했다. 그런데 심의위를 한 차례도 가동하지 않았다. 지난해 2월 청소·경비를 비롯한 용역·파견 노동자 760여명만 직접고용했다.

노조는 “기간제 노동자의 정규직화가 더딘 배경에는 서울대의 불합리한 인사구조가 자리 잡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규직으로 전환된 용역·파견 노동자들은 총장이 인사권을 행사하는 법인 소속 직원이다. 현재 문제가 되는 기간제 노동자들은 교내 단과대·연구소 같은 각 기관 기관장이 인사권을 행사하는 직원이다. 서울대가 인사권을 기관장에게 떠넘긴 채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대가 정규직 전환을 미루는 사이 노동자들은 계약만료로 일터에서 내쫓기고 있다. 서울대 글로벌 사회공헌단에서 1년 단위 계약을 맺고 일하는 ㄱ씨는 “정부가 비정규직 제로 정책을 시행한 뒤에도 우리 기관 노동자들은 근무 2년째가 되면 계약만료로 나가야 한다”며 “나도 2년째가 되는 올해 4월 말이 되면 계약만료로 일을 그만둬야 하는데, 서울대가 정부 지침에 따라 정규직 전환을 추진했다면 이런 일이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서울대는 정부가 2017년 7월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 정책을 시행하기 이전부터 기간제 노동자를 대학 각 기관에서 심사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해 왔다”며 “계약직으로 입사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된 인원이 2017년 기준 550명이나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정책을 시행한 이후에도 기관 차원에서 기관·업무 특성에 따른 정규직 전환 대상을 발굴하고 있다”며 “다만 총장 임용 전이라서 대학 중앙 차원에서의 심의위를 구성만 하고 가동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