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고용률 연령기준을 5세 단위로 세분화해 살펴봤더니 25~29세에서 취업자가 증가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산업별 취업자는 교육서비스업에서 줄어들고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 증가했다. 인구·산업구조 변화에 맞게 고용통계를 재설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서형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5일 이 같은 내용의 ‘2018년 고용동향 심층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지난 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지난해 연령별 취업자는 25~29세에서 11만6천명 늘었다. 1982년 이후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20~24세는 7만6천명 줄어들었다.<그래프 참조>

통계청은 지난해 청년층(15~29세) 취업자가 13만3천명 줄었다고 발표했다. 통계청의 “50세 이상 취업자 증가”라는 분석도 틀린 건 아니지만 5세 단위로 구분할 경우 50~55세 취업자는 2만4천명 감소했다. 해당 연령대 남성은 3만6천명 줄어들고, 여성은 1만2천명 늘어났다. 반면 55세 이상에서는 취업자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최근 3년간 산업별 취업자와 전년 대비 취업자 증감을 분석했더니 학령인구 감소로 교육서비스업은 지난해 6만명 줄어든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은 2016년 8만명, 2017년 6만1천명, 지난해 12만5천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직이 증가했으나 이를 학력별로 살펴보니 줄어든 임시직은 고졸자, 늘어난 상용직은 대졸자가 많았다. 제조업에서는 상용직이 9만7천명 증가했는데 대부분 대졸자였다. 줄어든 임시직 6만7천명은 고졸에 집중됐다.

서형수 의원은 “인구·산업구조가 급변하고 있는 시기에 기존 고용통계가 취업자에 대한 착시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며 “연령구간을 착시효과가 없도록 개선하는 한편 인구·산업구조 변화에 맞게 고용통계를 재설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