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수준이 중위소득의 절반 이하인 빈곤층 비율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소득불평등은 최근 2년 동안 변화가 없었다.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으로 빈곤층이 감소했지만 고소득자가 벌어들이는 액수도 대폭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일 한국은행·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상대적 빈곤율은 17.4%로 2016년보다 0.2%포인트 떨어졌다. 상대적 빈곤율은 중위소득 50% 이하로 살아가는 인구 비율을 뜻한다.

지난해 중위소득 50% 수준은 1천322만원이다. 전체 인구의 17.4%가 이보다 소득이 적었다는 의미다. 지난해 상대적 빈곤율은 관련 통계를 시작한 2011년 이후 가장 낮았다. 2015년에는 17.5%, 2016년에는 17.6%였다.

상위소득자 소득도 크게 늘었다. 상위 20%와 하위 20%의 소득격차를 나타내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의 5분위 배율은 7.00배였다. 2016년(6.98배)보다 0.02배 늘었다. 하위 20%의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은 923만원으로 2016년보다 37만원(4.2%) 늘었고, 상위 20%는 6천460만원으로 280만원(4.5%) 증가했다.

소득불평등 정도를 보여 주는 지표인 지니계수를 살펴봤더니 지난해 전체 소득분배 상황은 2016년과 같았다. 지니계수는 0이면 완전평등, 1이면 완전불평등 상황을 뜻한다. 2016년 0.355였는데 지난해에도 같은 수준이었다.

한편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7천531만원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7천99만원보다 432만원(6.1%) 증가했다. 부채를 지닌 가구 비율도 같은 기간 0.2%포인트 증가해 63.7%로 집계됐다. 가계 재무건전성은 나아졌다. 전체 가구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18.1%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부채가 늘었지만 평균 자산이 4억1천573만원으로 지난해(3억6천671만원)보다 7.5% 증가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