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노총
한국노총이 '200만 조직화' 목표를 달성하려면 중소·영세기업과 비정규직 사업장처럼 노조가 없는 현장에서 자발적 노조 만들기를 지원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한국노총 중앙연구원은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회관에서 '한국노총 조직화 사례 분석 및 유형별 행동계획 수립 연구' 중간보고회를 열었다. 연구는 한국노총 200만 조직화 실현과 노조간부들의 조직활동 지원을 위해 이뤄졌다.

◇"신규노조 건설 계획·시도 보완해야"=올해 한국노총의 조직화 사업계획을 분석한 이주환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은 "한국노총의 올해 조직화 사업계획은 '집토끼는 잘 지키고 산토끼는 다다익선'으로 요약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노총은 중앙에 '200만 조직화사업 추진단'과 '상황실'을 설치하고, 산업별·지역별로 하위조직을 둔 뒤 조직화 사업을 관장하고 지원하는 하향식 체계"라며 "현장활동은 단위노조와 지역별 노동교육상담소 등 기존 인적 역량에 역할을 부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노총이 신규노조 건설보다는 미조직 대상자들을 가입시켜 기존노조를 확대하는 '근거리' 조직화 전략을 특징으로 한다고 분석됐다. 이 연구위원은 "이런 노조 확대방식은 기존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면서도 "조직의 체질을 역동적인 방향으로 혁신하기 위해서는 노조가 없는 사업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요구를 받아 새로 조직화하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조직화사업 활성화를 위한 개선 과제로 중소기업·비정규직·청년·여성노동자들을 조직대표자로 육성해 노조활동 일선에 배치하라고 제안했다. 또 이주민·청년·은퇴노동자를 대상으로 별도 산하조직을 만들고 있는 유럽 노동조합총연맹들처럼 한국노총도 '단체교섭 사각지대'에 놓인 노동자의 노동조건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가가호호' 조직화, 강원도교육청노조 '눈길'= 이날 보고회에서는 한국노총의 6개 노조 조직화 사례가 소개됐다. 노조가 없는 현장노동자들이 자발적으로 노조를 건설한 강원도교육청노조 사례를 발표한 조혁진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 전문연구원은 "상급단체가 조직화를 진행하는 방식이 아니라 현장노동자가 노동조건에 대한 불평등을 노조를 통해 개선하고자 하는 '자발적 노동조합 조직화'라는 특징을 가진다"며 "노조전임자가 없던 시기 7명의 집행간부들이 개인 휴가를 사용해 에 산재해 있는 660여개 기관을 방문하는 이른바 '가가호호' 조직화 방식으로 현장 공무원들을 모았다"고 소개했다. 7명에서 시작한 노조가 1천500명 조직으로 커질 수 있었던 비결이라는 얘기가 뒤따랐다. 그는 "조직 대상 노동자들이 한 곳에 모여 있지 않고, 각 지역별로 산재해 있는 공무원이나 공기업 등 공공부문 조직화에 시사점을 준다"고 말했다.

상급단체가 주도한 전략조직화 사례로는 '공공산업희망노조'가 대표적이다. 공공노련은 지난해 6월 공공기관 미화·경비·시설관리 등 간접고용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공공산업희망노조를 출범시켰다. 조 전문연구원은 "공공산업희망노조가 매우 빠른 속도로 조합원을 확대한 배경에는 한국노총 차원의 비정규연대기금이 큰 역할을 했다"며 "정규직 노동자가 비정규 노동자의 노조할 권리 보장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점도 주목할 점"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