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과 핀란드, 네덜란드 등 북구 3국이 정보화시대의 새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꽃이나 나무를 팔던 곳으로 여겨지던 이들은 이젠 필립스, 노키아, 에릭슨 등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정보통신업체의 국가로 부각되면서 호황을 구가하고 있다. 적은 인구와 부족한 자원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된 배경과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현지취재를 통해살펴본다.

“스웨덴 국민의 엄청난 인터넷 활용도를 보면 스웨덴이 얼마나 발전할수 있을지 누구도 짐작할 수 없게 됩니다”. MCI월드컴 부사장인 빈터 서프는 스웨덴의 정보기술 수준을 이같이 높이 평가했다. 북유럽 국가인 스웨덴은 세계의 정보화지수 국가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인근 핀란드(3위), 네덜란드(7위) 등도 세계 최고 수준이다.

그러나 이런 평가의 밑바탕에는 어려움을 이겨낸 과정이 있다. 대표적인게 노사간 갈등 극복이다. 특히 전통적으로 노조가 강한 가운데서도 노사정합의라는 대타협을 통해 위기극복은 물론 고용안정과 경제성장이라는 ‘세마리 토끼’ 를 잡았다.

북유럽 노사정 합의에 의한 표본으로 일컬어지는 것은 네덜란드의 ‘폴더 모델(Polder Model)’ 이다. 네덜란드는 1973년부터 82년까지 경제위기를겪었다. 1, 2차 오일쇼크를 겪으면서 79년에는 최악의 스태그플레이션을 경험했다. 80년대 들어서도 경제여건이 더욱 악화돼 매월 1만명씩 실업자가늘었으며 국내총생산도 전년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네덜란드 공공기업 IR 담당자인 바트 데브리스 부장은 “당시 로테르담항만노조와 화학회사인 AKZO 등 대기업 노조의 파업이 잇따랐다”며 “노사는 한치도 양보하지 않은 채 최악의 갈등을 겪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국민들 사이에는 위기가 지속될 경우 3류 국가로 전락할지 모른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해졌다. 경제회생의 시발점이 된 바세나 협약(Vassenaar Agreement)이 체결된 것은 한참 지난 뒤였다.

네덜란드 경제기획청(CPB)는 노사정 합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임금인상억제, 노동시간 단축을 노사 양측에 제시했다. CPB는 임금인상률을 1%만 낮추면 매년 10만명(고용인구의 0.5%)의 신규 고용효과, 노동시간을 2.5% 단축할 때 24만명의 고용 창출효과가 있다고 제안했다.

노동자측과 사측도 ‘공멸은 피해야 한다’ 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에동의했다. 임금인상보다는 고용을 중시한 셈이다. 이후 네덜란드는 노사화합의 전기를 맞으면서 유럽의 ‘모범생’ 으로 탈바꿈했다.

스웨덴은 1938년 노사가 맺은 살트셰바덴 협약(Saltsj Baden Agreement)을 근간으로 99년 노사정이 참여하는 ‘성장협약’ 을 체결했으며, 핀란드도95년 노사정이 참여한 ‘사회적 협약’ 에 동의하면서 안정 성장의 기틀을마련했다.

북구 3국의 주요 노조는 단순한 임금인상보다는 근로자들의 정보화시대적응 등 실질적인 ‘근로자 몸값 높이기’ 쪽에 더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일부 노조는 노조 예산으로 컴퓨터를 구입, 조직원들에게 나눠줄 정도다.

반 빔베리헨 네덜란드대 경제학과 교수는 “장기간 지속된 합의주의 전통을 바탕으로 노사간에 대립보다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문제를 풀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