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노동자 절반 이상은 첫 일자리 진입 후 10년 안에 이직했다. 이직자 임금은 비이직자보다 평균 6.2% 적었다.

22일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3일 열리는 '2018 고용패널조사 학술대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청년층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분석'을 포함한 전문가 논문 33편과 학생 논문 수상작 6편이 발표된다.

고용패널조사 학술대회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청년패널·고령화연구패널 등 고용정보원 데이터를 활용해 연구논문을 발표하는 자리다. 이번 학술대회는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다.

청년패널조사 자료(2007∼2016년)를 활용한 황광훈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의 '청년층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분석'에 따르면 청년층 노동자는 첫 일자리 진입 이후 4년간 28.7%, 6년간 39.9%, 10년간 53.2%가 이직을 경험했다. 이직경험자의 평균 이직횟수는 2.13회이고, 최대 12회까지 이직경험이 있었다.

남성이 여성보다 이직 가능성이 낮았고, 학력이 높을수록 이직확률이 낮았다. 특히 300인 미만 중소기업 노동자들의 이직 가능성이 높았다.

이직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이직자 임금이 비이직자보다 평균 6.2% 적었다. 이직자와 비이직자 그룹의 임금수준을 비교하면 첫 일자리와 마지막 일자리 모두 비이직자 그룹의 임금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첫 일자리 임금수준 격차는 월평균 임금(실질임금) 기준 41만2천원으로, 마지막 일자리 격차(25만5천원)보다 높았다.

황광훈 책임연구원은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청년근로자가 현 직장에 안착하지 못하고 이직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며 "정부가 청년들의 중소기업 장기근속을 유도하기 위해 추진 중인 청년내일채움공제 같은 정책적 노력과 함께 중소기업의 근로조건·고용안정성·복지혜택 등 임금 외 고용환경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여성과 임시·일용직, 저학력층 등 고용 취약계층에서 저임금을 동반한 이직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며 "진로 및 직업지도 프로그램과 각종 정책대상별 훈련프로그램, 청년고용지원정책을 개선·보완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