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노동자 172만명이 고용변화를 겪는다는 전망이 나왔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기술혁신으로 매장 판매직이나 운전·운송 관련직, 청소·경비, 공장 단순반복 일자리가 80만개 줄어든다. 정보·통신·과학기술 전문가, 보건복지 서비스직, 문화·예술·스포츠 관련 분야 일자리는 92만개 늘어난다.

고용노동부는 8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6~2030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전망'을 보고했다. 지난해 3월부터 국책·민간연구기관과 대학·기업 전문가들이 참여해 4차 산업혁명 기술 현황과 해외사례, 고용변화 관련 통계를 참조해 작성했다.

인력수요전망에 따르면 정보·통신 전문가, 공학 전문가, 과학기술 전문가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인력 취업자는 큰 폭으로 증가한다. 소득증가와 의료기술 발달로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직과 의료보조직도 늘어난다. 교육 전문가와 문화·예술·스포츠 관련 업종도 마찬가지다. 이렇게 증가하는 일자리가 92만개다.

반면 디지털 유통채널 확대와 판매서비스 자동화로 매장 판매직은 줄어든다. 자율주행차와 자동화 운송시스템 발달로 운전·운송 관련직 취업자도 크게 감소한다. 스마트공장 생산공정 자동화는 단순노무직 감소로 이어진다. 이렇게 없어지는 일자리가 80만개다.

이런 전망은 4차 산업혁명을 포함한 국내외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경제·산업 구조를 개편했을 경우를 전제로 한 것이다. 노동부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이 인구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따른 저성장 위기를 극복하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며 "산업·고용·직업구조에 큰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중장기적 관점에서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노동부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기술혁신 지원 인프라 구축 △민간투자 확대를 위한 규제개혁 △중소기업 연구개발 역량 강화 △벤처기업 지원 확대를 과제로 꼽았다. 인력수요 증가에 대비한 전문인력 양성과 플랫폼 종사자 같은 다양한 고용형태에 대비한 사회안전망 확대도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이를 위해 사회적 대화기구 활성화를 주문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