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학력이 높고 자산이 많을수록 자녀들도 고학력 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학력과 부가 대물림된다는 '수저계급론'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다. 자산불평등의 세대 간 이전을 완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홍민기 선임연구위원은 '자산 불평등과 세대 간 이동성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부모 자산이 자녀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홍 선임연구위원은 부모 자산 상태에 따라 △고자산(평균 총자산 3억3천만원) △중자산(1억1천만원) △저자산(4천700만원) △무자산(1천55만원) 집단으로 나누고, 자산 규모에 따라 자녀에 대한 사교육 투자, 자녀 학력수준·고용형태·근로소득이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살폈다.

고자산 가구의 평균 사교육 비용은 무자산 가구의 6.1배나 됐다. 무자산 가구가 사교육비로 한달에 3만8천원을 쓸 때 고자산 가구는 23만1천원을 지출했다.

부모 자산이 많을수록 자녀 학력은 확연히 높았다. 고자산 가구의 자녀가 대졸 이상인 비중은 무자산 가구 자녀보다 2.7배 높았다. 반대로 무자산 가구 자녀가 고졸 이하인 비중은 고자산 가구의 2.4배였다.

자녀 근로소득은 부모 자산에 비례했다. 부모 자산이 많을수록 자녀가 정규직인 비중이 높아졌다는 말이다. 고자산 가구 자녀가 정규직인 경우는 51.2%, 무자산 가구 자녀가 정규직인 경우는 46%였다.

자영업자 비중은 고자산 가구 자녀가 8%로 가장 많았고, 중자산·저자산 자녀가 6.8%였다. 무자산 가구 자녀는 6.2%로 가장 적었다. 홍 선임연구위원은 "부모 자산이 많으면 사업자금을 증여받을 수 있어 자영업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는 "부모로부터 상속과 증여를 전혀 받지 못하는 청년가구들은 교육기회에서도 불평등한 상태에서 성장할 뿐만 아니라 일자리 탐색과 경제적 자립 과정에서도 불평등을 겪고 있다"며 "청년기 자립에 필요한 자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정책과제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예컨대 서울시 청년수당처럼 청년들이 여유 있게 일자리 탐색기간을 가지며 자신에게 맞는 일자리를 구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금액을 오랫동안 지급하면서 지급조건을 대폭 완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문이다. 홍 선임연구위원은 "청년을 대상으로 한 공공주택 공급량을 대폭 확대하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