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노총
최근 정부가 4차 산업혁명으로 혁신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규제완화와 재원지원 방안을 밝힌 가운데 “노동이 존중되는 포용적 디지털화가 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명준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수석전문위원은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회관에서 열린 ‘노동포용적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의 필요성과 과제’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한국노총이 주최했다.

박명준 수석전문위원은 “디지털화를 산업민주주의 원리 강화와 사회적 안정성 확대를 위한 새로운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노동포용적 디지털화를 향한 사회적 타협을 위한 주체 간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노사정에 각자의 역할을 당부했다. 박 수석전문위원은 “정부는 노동시장 포용성에 중점을 둔 새로운 정책패러다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주체 간) 사회적 대화에서 이해조정적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요구했다. 노동계에는 “거시적 관점에서 새로운 일자리 질서를 바라보고, 변화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고 기업별 노조주의 편협함을 극복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재계에는 “일자리를 둘러싼 기업의 새로운 사회적 책임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며 “노동배제보다는 노동포용성을 근간으로 한 경영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사회적 대화를 통한 노동포용적 4차 산업혁명에 공감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정문주 한국노총 정책본부장은 “산업만 있고 노동은 없는 4차 산업혁명 정부기구에서 벗어나 사람 중심 노동존중의 포용적 디지털화를 추구해야 한다”며 “국가 차원의 산업과 노동을 아우르는 4.0 전략을 경제사회 주체 간 사회적 대화를 통해 수립하자”고 제안했다.

태병민 4차산업혁명위원회 사회혁신팀장은 “사회적 대화와 합의 과정을 통해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노동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형 노동 4.0을 위한 사회적 합의와 전략 마련은 노사정위와 일자리위원회 등 노사정 사회적 대화 틀과 연계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