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나영 기자
보건의료노조와 보건의료산업사용자단체협의회(준)가 95개 사업장에서 1만3천여개 일자리를 만들고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합의했다. 노조는 임금인상분을 채용과 정규직 전환에 쓰자고 제안하고 협의회가 호응하면서 타협이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여기에 정부도 지원책을 마련하면서 일자리 늘리기에 힘을 실었다.

노조는 2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보건의료노조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95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보건의료산업사용자단체협의회(준)와의 교섭에서 95개 의료기관이 2천227명의 신규인력을 충원하고, 1만999명의 비정규직을 정규직 전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산별교섭을 진행한 사업장 97곳 중 을지대병원·을지대을지병원 두 곳은 교섭이 결렬돼 파업을 하고 있다.

보건의료 분야 노사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올해 4월부터 토론회·간담회 등을 진행해 왔다. '보건의료 분야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사정TF'를 구성하고 올해 8월에는 '보건의료 분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사정 공동선언' 발표했다. 지난달에는 '공공병원 비정규직 정규직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공공병원 교섭은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진행됐다. 보훈병원을 비롯한 43개 특수목적공공병원은 849명의 신규인력을 충원하고, 비정규직 2천788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부산대병원을 비롯한 6개 국립대병원은 539명의 신규인력 충원과 5천633명의 비정규직 정규직화에 합의했다.

가이드라인 적용 대상이 아닌 민간병원에서도 일자리 창출 흐름에 동참했다. 15개 사립대병원과 6개 민간 중소병원이 236명의 신규인력을 충원하고 비정규직 902명을 정규직 전환한다. 특히 경희의료원를 비롯한 주요 사립대병원들은 ‘비정규직 없는 병원’을 선언하고 2020년까지 비정규직을 단계적으로 정규직화하기로 합의했다.

이주호 노조 정책연구원장은 “노조가 먼저 임금인상을 자제하고 이를 통해 마련한 재원을 일자리창출에 활용하겠다고 밝히면서 민간병원까지도 일자리 창출을 할 수 있었다”며 “내 임금이 덜 오르더라도 일자리 문제를 푸는 것이 의료 질 향상과 환자 안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노조 내부의 공감대가 형성돼 이런 결과를 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인력 문제는 건강보험 수가 문제를 비롯해 개별 사업장이 다루기 힘들지만 산별교섭과 노사정 대타협을 통해 합의할 수 있었다”며 “이번 합의가 산별교섭과 노사정 대타협의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