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의 75%는 자신이 일하는 회사의 인사평가를 불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계에서도 인사평가를 통해 등급을 강제할당하고 급여를 차별하는 인사노무 방식의 한계를 인정하는 분위기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5월 대기업과 중견기업 직장인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사평가 제도에 대한 직장인 인식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직장인의 75.1%는 “인사평가 제도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부문별로 보면 평가 기준의 합리성(36.6%), 평가과정의 투명성(38.6%), 평가 결과의 공정성(36.9%) 항목에서 “동의한다”는 답이 40%를 밑돌았다.

직장인들은 이같이 답한 이유로 사내정치에 따른 평가(58.8%), 개인 이미지로 평가(41.2%), 연공서열(35.5%), 온정주의적 평가(27.5%)를 꼽았다.

평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조직 공헌도(37.8%)보다 평가자에 대한 충성도(62.2%), 과정(29.8%)보다는 결과(70.2%)를 지목했다. 혁신적 태도(33.7%)보다 보수적 태도(66.3%)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조사 결과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인사평가가 객관적이거나 공정하지 못해 직장내 줄서기만 늘어날 것”이라며 성과연봉제나 성과향상 프로그램 시행을 반대해 온 노동계 주장과 큰 차이가 없다.

대한상의는 기업의 인사평가 방식 혁신을 강조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GE·마이크로소프트 같은 외국 선진기업들은 코칭 프로그램 도입과 절대평가제 전환 등 평가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며 “강제적 등급할당과 차별적 보상에만 중점을 둔 상대평가제로는 혁신과 직원역량 향상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