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중앙부처가 내년 예산안을 올해보다 24조원 증가한 424조원으로 제시했다. 보건·복지·고용 분야에서 11조원이 늘어났다.

12일 정부에 따르면 각 부처가 기획재정부에 제출한 내년도 예산·기금의 총지출 규모는 424조5천억원이었다. 올해 400조5천억원보다 6%(23조9천억원) 늘었다. 각 부처가 요구한 정부 일반예산은 294조6천억원으로 올해보다 7.2%(19조9천억원) 늘었고 기금예산은 129조9천억원으로 3.2%(4조원) 증가했다.

분야별로는 보건·복지·고용 예산이 141조1천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올해보다 11조6천억원(8.9%) 늘어 증가 규모도 가장 컸다. 기초생활보장급여와 공적연금·기초연금 의무지출 증가, 장애인·노인을 비롯한 취약계층 지원 확대 요구로 인해 복지 분야가 8.9%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교육 분야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증가 영향으로 7% 늘어났고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 구축을 포함한 선제타격체계(Kill Chain) 구축 등 북핵 위협 대응 강화와 장병 처우개선 비용 증가로 국방 분야도 8.4% 증가했다.

이와 함께 외교·통일은 남북경제협력 확대와 개발도상국 정부개발원조(ODA) 지원 요청 증가를 반영해 3.7% 늘었다. 공공질서·안전은 불법조업 단속·해양경비 강화를 위한 함정건조 지원 확대로 인해 4.6% 증가했다. 일반·지방행정 예산과 연구·개발(R&D) 예산도 각각 9%와 1.3% 확대했다.

반면 사회간접자본(SOC)은 15.5% 감소했다. 도로·철도를 중심으로 시설과 투자가 축적돼 있는 점을 고려했다. 환경 분야는 상·하수도 시설 사업 규모를 조정하면서 3.9% 감소했고 산업 분야는 에너지·자원개발 예산 효율화 노력과 융자사업 축소로 인해 3.8% 줄었다. 농림은 농업생산 기반시설에 대한 보수·보강 수요가 줄면서 1.6% 감소했다. 문화는 평창동계올림픽대회 시설지원 완료에 따라 체육 부문 예산이 줄면서 5% 감소했다.

기재부는 “각 부처 요구안을 토대로 2018년 정부 예산안을 편성·확정해 오는 9월1일까지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라며 “이 과정에서 강도 높은 재정개혁으로 마련한 재원을 일자리 창출을 포함한 신정부 공약과 국정과제에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