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체에서 일하는 청년은 줄어들고, 숙박·음식점업종이나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종에 취업한 청년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이 10인 미만 소규모 사업체에 유입될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어 중소기업 노동조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4일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층의 부문별 고용비중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층(만 15~29세)의 제조업 고용비중은 2004년 23%를 기록한 뒤 지속적으로 하락해 지난해에는 19.6%까지 떨어졌다. 같은 기간 도매 및 소매업은 18.2%에서 14.4%로 하락했다.

반면 숙박 및 음식점업 취업은 5.9%에서 10.2%로 두 배 가까이 올랐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도 7.1%에서 13.2%로 상승했다.

고용비중은 각 부문 취업자를 청년층 임금근로자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청년층 유입 가능성이 높다. 직종별로 보면 2004년에는 사무 종사자(29.3%)가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26.4%)보다 고용비중이 높았다. 그런데 2009년부터 두 직종이 역전됐다. 지난해에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30.4%, 사무 종사자가 26.4%를 기록했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5인 미만이 2004년 17.9%에서 지난해 15.1%로 떨어졌다. 300인 이상 사업체는 11.5%로 12.2%로 일정 수준을 유지했다. 산업과 규모를 함께 보면 숙박 및 음식점업 10인 미만 사업체에서 청년층 고용비중이 2004년 4%대에서 지난해 7%대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10인 미만 사업체는 2%대 후반에서 4%대 후반으로 상승했다.

두 산업은 소규모 업체인데도 청년층이 꾸준히 유입된 것이다. 반면 제조업 10인 미만 사업체 고용비중이 3%에서 2%까지 하락한 것을 포함해 대부분 산업에서 소규모 사업체 고용비중이 감소했다.

김두순 고용정보원 전임연구원은 “청년층이 소규모 사업체 취업을 꺼리고 있다”며 “청년층 실업과 미스매치를 완화하기 위해 청년들이 기꺼이 갈 수 있도록 중소기업을 성장시키고 근로여건을 개선하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