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혜정 기자
박근혜 정부의 노동시장 구조개혁에 반발한 양대 노총 제조노동자들이 공동투쟁본부를 결성해 대응에 나선 지 2년이 지났다. 2015년 3월 민주노총 금속노조·화학섬유연맹, 한국노총 금속노련·화학노련 등 4개 제조산별로 출범한 양대 노총 제조부문 공동투쟁본부는 올해 초 상설연대체인 '양대 노총 제조연대'로 명칭을 바꾸고 다음달 28일 출범식을 한다.

제조연대 소속 노조들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화학노련 사무실에서 공투본 활동을 평가하고 향후 계획을 모색하는 집담회를 마련했다. 임영국 화학섬유연맹 사무처장 사회로 진행된 이날 집담회에서 참석자들은 "박근혜 정부가 밀어붙이는 전면적 노동개악에 노동계 내부의 위기감이 상당했다"고 회고했다. 뭉쳐서 싸우지 않고서는 각개격파될 수밖에 없다는 위기감과 절박감이 공투본 결성으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함재규 금속노조 부위원장은 "과연 (각 제조산별이) 잘 융합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도 있었지만, 공투본 투쟁으로 노동개악을 저지했다는 자부심이 생겼다"고 말했다. 윤욱동 전 금속노조 사무처장은 "2015년 한 해에만 굵직한 공동투쟁을 여러 차례 하면서 자신감을 가졌고, 서로의 진심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중앙 차원의 연대가 지역단위로 확산하지 못한 것은 아쉬움으로 지적됐다. 정병철 화학노련 인천지역본부 사무국장은 "사실 지역에서는 제조연대 활동을 잘 모른다"며 "중앙뿐만 아니라 지역에서도 일상적 연대와 투쟁을 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새 정부와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지도 제조연대의 화두다. 제조산업발전법을 제정하려면 정부·여당의 협력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최장윤 금속노련 정책국장은 "양대 노총 조직들이 참여하다 보니 총선·대선 시기에 제조연대의 역할이 없었다"며 "새 정부와 어떻게 관계를 맺을 것인지 적극적인 논의가 있었다면 좋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 지방선거에서 제조연대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육일 화학노련 사무처장은 "문재인 정부가 친노동 성향을 표방했지만 노동자 입장을 다 반영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노동계가 한목소리를 내면서 정부의 제조·산업정책에 개입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제조연대' 명칭에 걸맞은 일상연대 강화방안으로 △정례적인 지역순회 △4차 산업혁명 관련 대응방안 모색 △교육사업 △복수노조 갈등 해소에 공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