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호열 사무금융노조 골든브릿지투자증권지부장
“노동이 바로 서는 정부를 꾸려야 합니다.”

한국 노동운동사에서 최장기 파업을 이끌었던 김호열(46·사진) 사무금융노조 골든브릿지투자증권지부장의 말이다. 국민 절반이 노동으로 삶을 꾸려 가는 노동자다. 그런데 노동은 늘 소수자들의 문제로 치부된다. 주요 대선후보 중 한 명이 공공연히 "노조 때려잡기"를 캐치프레이즈처럼 내걸었던 배경이다. 지부는 이명박·박근혜 정부를 거치면서 수난을 겪었다.

근로시간면제(타임오프)에 의한 전임자 감소, 창조컨설팅의 노조파괴 공작, 단체협약 일방해지, 정부 지침을 빙자한 저성과자 해고 취업규칙 개정 바람이 사업장을 휩쓸었다. 지부는 이명박 정권 말기와 박근혜 정권 초기 사이에 586일간 전면파업을 했다.

“보수정권 9년을 거치며 골든브릿지증권이 ‘노조탄압 백화점’이 돼 버렸습니다. 노동공약을 중심으로 대선후보들을 평가하고, 누가 얼마만큼 노동현안 해결에 진정성을 보이고 균형감각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표를 행사한 이유입니다.”

김호열 지부장은 “노조활동은 인권수호를 위한 투쟁”이라고 했다. 같은 논리면 부당노동행위는 인권유린 범죄라는 등식이 성립한다. 그는 “노조활동은 곧 양심·결사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싸움인데 그동안 부당노동행위가 사회적으로 과소평가돼 전체 국민을 잠재적 피해자로 만들었다”며 “새 정부가 부당노동행위를 인권을 유린한 중대범죄로 규정하고 강력하게 처벌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의 노조활동이 ‘자본의 허락’을 전제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노조 전임자나 조합원 범위를 결정할 때 노조에 보다 많은 자율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얘기다. 사무직군을 위주로 확산하는 저성과자 교육이나 직장내 따돌림 문제를 견제할 장치를 마련할 것도 주문했다. 김 지부장은 "유수의 다국적 기업들이 유독 한국에 와서는 노조 탄압과 비윤리 경영을 일삼는다"며 "기업에 사회적 책임을 물리는, 도덕과 정의를 아는 정부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