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혜진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상임활동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는 늘 흔들린다. 사회 전체를 지배하는 경쟁 이데올로기, 돈 중심 사고 속에서 다른 노동자를 짓밟고 올라서려 하고, 잔업·특근을 많이 해서라도 돈을 더 많이 벌고자 한다. 기업들은 노동자들이 경쟁 논리를 내면화하도록 제도를 만든다. 성과해고제·성과연봉제를 도입하거나 성별·고용형태별·직무별로 온갖 위계를 만들어 노동자들을 차별한다. 노동자들의 '단결'이 두렵기 때문이다.

노동자들이 힘을 합해 일손을 멈추는 순간 기업의 이윤은 멈춰 버리므로 기업은 어떻게 해서라도 단결을 방해한다. 군사독재 시절에는 억압적 통제가 노동자들의 단결을 방해했다면 신자유주의 시대에는 노동자들을 갈라놓고 위계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를 유포함으로써 단결을 방해한다.

노동조합은 이런 지옥 같은 경쟁을 '연대'로 바꾸는 조직이다. 노동자들의 내면에는 경쟁적 삶에 대한 회의가 깔려 있다. 노동자들은 '함께 살기' 위해 자신을 내던지고 투쟁하며 연대하기도 한다. 노동조합은 노동자들을 갈라놓음으로써 마음대로 통제하는 기업 정책에 저항하며 '함께 살자'는 정신으로 노동자들의 권리를 쟁취한다. 노동조합이 '의식적 운동'인 것은 매순간 노동자들의 의식을 지배하는 기업의 이데올로기에 맞서 싸우기 때문이다. 높은 위계에 있는 정규직·남성·고숙련, 그리고 근속이 오래된 노동자들은 자신의 작은 이익 때문에 현실에 순응하려고 하고, 비정규직·여성·청년노동자들도 무기력감 때문에 순응하기도 하지만 노동조합은 끊임없이 교육하고 알리고, 연대하고, 파업함으로써 현실에 맞선다.

현실에 맞선다 함은 기업의 위계를 무너뜨리고 모두를 주체로 세워 나간다는 뜻이다. 힘이 있는 노조가 대신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은 겉으로는 자본의 위계에 맞서는 것처럼 보이지만 위계와 차별을 흔드는 것이 아니다. 그런데 위계에 맞서 싸운다고 하면서, 비정규 노동자들이 직접 나서려고 하면 '비정규직의 요구가 지나치게 높다'거나 '해결할 힘도 없으면서 왜 나서냐'거나 혹은 '우리 통제 아래에서 행동하라'고 요구하기도 한다. 노동조합운동은 낮은 위계의 노동자에게 시혜를 베푸는 운동이 아니라 비정규직·여성·청년노동자들이 스스로 주체가 되도록 돕고 함께 싸우는 것이다.

4월27일에서 28일까지 열린 금속노조 기아자동차지부 총회에서 비정규직을 조합에서 분리시키는 안건이 71%의 찬성으로 가결됐다. 정규직 조합원 다수가 왜 이 안건에 동의했을까 고민한다. 비정규 노동자들이 '불법파견 정규직화'를 내걸고 투쟁하다 보니 노사관계가 흔들리는 것에 대한 두려움도 있을 것이고, 선별채용에 동의하지 않는 비정규 노동자들의 투쟁 요구가 무리하다고 여기는 이들도 있을 것이며, 비정규직이 여전히 고용의 방패막이가 되기를 원하는 마음도 있을 것이다. 또는 정규직 노동조합의 통제에 따르지 않는 것에 불만을 제기한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마음은 기업이 만든 위계와 통제를 수용하는 것이며, 기아자동차지부는 조합원의 상태를 핑계로 그 위계를 증폭시킨 것이다.

이 결과를 보며 많은 이들이 노동조합운동의 현실에 절망한다. 그동안 민주노조운동이 이 위계와 부딪쳐 싸우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 많은 목소리가 나와 더 시끄러워지도록 노력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적극적으로 노동자 내면의 갈등을 증폭시키는 과정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이미 현실에서 노동자들은 기업의 통제 때문에 갈라져 있는데, 이것을 깨려면 현실을 크게 뒤흔들어야 하는데 현실의 안정을 원했기 때문이다. 비정규 노동자들이 들고일어날 때 그 주체성을 인정하고 연대해 더 큰 힘으로 만들기보다는 '합의'나 '통합'이라는 이름으로 '가만히 있도록' 해 왔기 때문이다.

우리는 여전히 단결의 가능성을 포기하지 않는다. 하지만 단결을 위해서라도 이제는 스스로를 주체로 세워 나가는 또다른 노동자들에게로 눈을 돌리자. 비정규 노동자들이, 여성노동자들이 청년과 노년의 노동자들이 더 많이 조직되고 권리를 위한 투쟁에 나설 때 민주노조운동의 흐름도 새로워질 수 있다. 그 조직을 튼튼하게 세울 수 있다면 지금은 침묵하고 있는 정규직 노동자들도 '다른 노동자들과 함께 싸울 것인지, 고립돼 무너질 것인지'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될 것이다. 그때 함께 싸우는 길을 선택하도록 정규직 노동자들을 설득하고 연대투쟁을 조직하는 것도 여전히 중요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에게 지금 더 중요한 것은 그동안 권리를 인정받지 못하고 기업에 의해 낮은 위계로 간주되던 많은 노동자들이 무기력을 뚫고 일어서도록 연대하는 것이다.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상임활동가 (work21@jinbo.net)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