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임금교섭이 예년보다 더디게 진행되고 인상률 수준도 낮았지만 파업에 따른 근로손실일수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연봉제를 둘러싼 노정갈등으로 임금교섭에 집중하지 못하고 장기간 분쟁을 겪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10일 한국노동연구원이 내놓은 월간 노동리뷰 1월호에 따르면 지난해 100인 이상 사업장 임금결정진도율은 11월 기준 63%로 전년 같은달(73.6%)보다 10.6%포인트 낮았다. 2015년에는 7월께 절반에 가까운 사업장(48.3%)이 임금교섭을 마쳤지만 지난해에는 9월(52%)에야 50%를 달성했다.

지난해 11월 기준 임금인상률은 3.5%로 예년보다 낮았다. 2014년과 2015년 임금인상률은 각각 4.1%와 3.7%였다.

반면 근로손실일수는 지난해 1~11월 기준 190만9천788일로 전년 같은 기간(43만7천100일)의 4배를 웃돌았다.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던 2000년(189만4천일)을 훌쩍 넘어섰다.

근로손실일수는 파업참가 노동자수에 파업 지속일수를 곱해 만든 지표다. 성과연봉제 노정갈등으로 금융·공공기관들이 연쇄파업에 돌입했던 것이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분석된다. 철도노조는 조합원 7천700여명이 성과연봉제 일방도입에 맞서 역대 최장인 72일간 파업을 했다.

다만 노사분규 건수는 지난해 1~11월 기준 11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00건)보다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파업이 규모가 큰 사업장에서 오랜 기간 지속됐다는 의미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