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면 한국노총 부산지역본부
조선·해운업 구조조정에 이어 한진해운발 물류대란 여파로 부산경제에 악재가 겹치면서 노동자들이 조선업·한진해운 회생을 위한 대책 마련과 금융지원을 정부에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노총 부산지역본부(의장직무대리 서영기)는 지난 7일 오후 부산 동구 부산역광장에서 해상노련·한진해운살리기부산시민대책위원회를 비롯한 2천여명이 모인 가운데 '조선·한진해운 정상화를 위한 부산 노동자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한진해운 법정관리 … 부산경제 직격탄"



노동자들은 이날 "지역 주력산업인 조선 기자재 산업마저 수주절벽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한진해운 사태라는 직격탄까지 맞아 부산경제 추락은 이제 불가피할 지경에 이르렀다"며 "계속되는 위기에 영세업체 줄도산과 대량실직 사태까지 심각한 후폭풍이 초래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국내 1위 선사였던 한진해운이 지난달 1일부터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부산경제 전반에 빨간불이 켜졌다. 한진해운은 부산항 처리물동량의 10%를 차지한다. 법정관리로 부산항 매출 하락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부산항만공사가 국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한진해운이 부산항에서 처리한 환적화물의 50%인 52만4천481TEU 이상이 이탈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간 피해규모는 지난해 선박료 76억5천200만원에 환적화물 이탈 피해 산출액인 618억9천100만원을 더한 695억4천300만원으로 추정됐다.

목적지 항만에서 한진해운 선박 입항을 금지하고 화물 하역작업을 거부하면서 물류대란은 물론 선원들이 배 위에서 감옥생활을 하는 실정이다. 선원들의 고용도 불안해지고 있다. 한진해운은 법정관리 이후 용선료 부담 때문에 하역을 마치는 대로 선박을 반선(배를 원주인에게 돌려주는 것)하고 있다. 현재 컨테이너선 7척, 벌크선 8척이 반선되거나 반선이 결정됐다. 반선되면 승선 중인 한국인 선원들이 배에서 내려야 하는데, 이들에 대한 재승선 계획이 마련되지 않았다.

정부는 노동자들의 고용불안에 대해 뾰족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 못하고 있다. 금융당국과 채권단도 한진해운에 추가적인 자금지원에 선을 긋고 있어 지역 노동자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서영기 부산본부 의장직무대리는 "해운업이 붕괴되면 부산항이 무너지고 부산항이 무너지면 지역경제 근간이 흔들리고 만다"며 "국가적으로 엄청난 경제손실과 대량실업이 초래될 수 있는 비극을 정부는 왜 모르는 체하느냐"고 비판했다. 그는 "부산항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제항만의 명성을 이어 나갈지, 일개 동북아지역 항구로 전락할지는 정부당국의 결정에 달려 있다"며 "한진해운·한진그룹과 채권단·정부·법원은 역량을 결집해 물류대란을 조속히 마무리하고 한진해운이 영업망을 그대로 가진 채 회생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원 무사귀환, 고용문제 해결해야"



염경두 해상노련 위원장은 한진해운 선원들의 무사귀환에 주목했다. 염 위원장은 "선원들은 선사의 법정관리로 오갈 데조차 없이 선박에 억류된 채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생활조차 누리지 못하고 있다"며 "공해상에 갇혀 버린 선원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당장 선원들을 송환시키고, 가족과 만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요한 한진해운해상연합노조 위원장은 "정부는 구조조정 원칙론만 내세우며 조선업·한진해운을 껍데기만 남겨 놓고 책임 공방만 하는 무능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노동자들을 보호하고, 조선·해양산업을 지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위원장은 이달 3일 경남 통영 욕지도 남쪽 40킬로미터 지점에 정박해 있는 한진해운 소속 선박 2척에서 조합원들과 함께 정부 지원과 고용보장을 촉구하는 해상시위를 했다.

이들은 "정부는 조선·한진해운 회생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근본적인 종합대책 수립과 함께 전폭적인 금융지원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항만하역산업 및 부대산업, 협력업체에 종사하는 이들을 보호할 수 있는 지원대책을 수립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