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70년대 한국사회 변혁운동은 큰 부침을 겪었다. 한국전쟁 이후 괴멸돼 버린 변혁운동 세력이 4·19를 계기로 부활했으나 군사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정권에 의해 다시 철저히 짓밟히고 만다. 하지만 이 시기 변혁운동이 없었다면 80년대 전두환 군사독재 정권 아래에서 민주화운동을 꽃피울 수 있었을까.

세계노동운동사연구회(이사장 김정근)가 26일 오후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1960~1970년대 한국에서의 변혁운동’을 주제로 특강을 개최한다. 60~70년대 변혁운동 세력의 형성과 지향을 살펴보는 자리다.

전명혁 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 연구교수는 25일 미리 배포된 주제발표문에서 “4·19는 한국전쟁 이후 괴멸돼 버린 변혁운동 세력이 부활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남조선노동당·근로인민당 같은 세력이 혁신정치 세력으로 다시 등장했고 민족일보 등 진보언론, 교원노조 등 노동운동, 민주민족청년동맹(민민청)·통일민주청년동맹(통민청) 등 청년운동, 민족통일전국학생연맹(민통학련) 등 학생운동,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민자통) 등 통일전선체운동,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피학살자 유족회 등 각 분야에서 진보적 움직임이 다시 일어났다”고 소개했다.

전명혁 교수는 "5·16 군사쿠데타가 이 같은 진보적 사회운동 흐름을 철저히 분쇄했다"고 평가했다. 전 교수는 “5·16 직후 예비검속계획을 통해 사회당·사회대중당·민통련·민민청·통민청·민자통 등 18개 단체 핵심세력을 영장도 없이 구속하고, 특수범죄처벌에관한특별법을 제정해 이를 공포한 날로부터 3년6개월을 소급해 민중의 민주주의 요구를 폭력적으로 억압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군사쿠데타 세력의 억압 속에서도 민중의 민주주의 요구를 제기하려는 일련의 흐름이 조심스럽게 싹텄지만 중앙정보부가 발표한 인민혁명당·통일혁명당·남조선해방전략당 등 조직사건을 통해 박정희 정권에 의해 유린되고 말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