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고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고용의 질 향상과 취업연계 강화, 인력유출 방지를 통한 장기근속 유도 같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소기업은 사업장수로는 전체의 99%를, 종사자수로는 87%를 점유하고 있다.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청년고용협의회는 지난 13일 오전 서울 동작구 중소기업연구원에서 중소기업과 청년고용을 주제로 전문가들과 중소기업 담당자들이 참석하는 간담회를 열었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은 절대적 고용비중과 일자리 기여도를 갖고 있지만 인력수급은 어려운 실정”이라며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그에 따르면 2013년 기준 341만9천개 사업체 중 99.9%(341만6천개)가 중소기업이었다. 대기업은 0.1% 수준인 3천130개에 불과했다. 종사자 기준으로는 전체 1천534만명 중 87.5%(1천342만명)가 중소기업에서 일하고 있었다.

노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고용기여율은 93.9%로 높은 수준이고 경제성장기여도 역시 47~49%로 대기업 수준에 육박한다”며 “그러나 중소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상대적인 저임금, 괜찮은 중소기업에 대한 빈약한 취업정보로 인해 청년층이 선호하지 않는 일자리가 됐다”고 분석했다.

통계청의 지난해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국가기관·대기업 선호 청년비중은 각각 20%를 훌쩍 넘은 반면 중소기업은 6% 안팎에 불과했다. 신입직원 평균연봉은 고졸자는 1천500만~2천만원, 대졸자는 2천만~2천500만원 수준에서 형성돼 있었다.

노 연구위원은 “임금총액 기준으로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임금수준이 54.5%에 불과하고 10명 중 4명은 3년 이내에 직장을 그만두고 있었다”며 “핵심 인력이 대기업이나 경쟁업체로 이직하는 경우도 있어 피해가 막심하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청년실업은 가중되고 있으나 현 추세를 고려할 때 향후 5년간 중소기업 인력수급 역시 악화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지역전략산업을 매개로 한 산학협력 활성화와 괜찮은 중소기업-우수인력 연계 강화, 중소기업 취업지원 확대 같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