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가 신입직원 초임을 삭감해 신규채용을 확대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실효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이명박 정부가 청년실업 문제에 대처하겠다며 대졸초임을 20%씩 깎았다가 2년 뒤에 원상복귀한 'MB식 잡셰어링'의 복사판 아니냐는 비판이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달 4일 사측 회원사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킨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회장 하영구)는 매주 두 차례 TF회의를 갖고 안건별로 사례를 취합해 가이드라인을 만들 예정이다. 3일 개최한 2차 대표자총회에서 △신입직원 초임삭감 △2016년 임금동결 △호봉제 폐지·성과연봉제 연내 도입 △저성과자 해고 근거조항 마련을 올해 산별중앙교섭 안건으로 확정한 데 따른 후속조치다.

네 가지 안건 모두 금융노조가 받아들이기 힘든 내용이다. 노조와 협의가 난항에 부딪칠 경우 사용자측이 노조 동의 없이도 가능한 신입직원 초임삭감에 공을 들이지 않겠냐는 예상이 나온다.

사용자협의회는 "금융권 초임이 주변 경쟁국가는 물론 선진국인 일본보다 높다"며 "시장 임금과 맞지 않는 과도한 초임은 금융권 부담을 가중시키는 동시에 청년정규직 채용을 가로막고 있어 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초임을 얼만큼 삭감할지는 결정되진 않았지만 2009년 잡셰어링 때처럼 대략 20% 선에서 삭감하지 않겠냐는 전망이 나온다. 당시 이명박 정부는일자리를 나눠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한다며 공공기관과 금융기관 대졸 신입직원 초임을 20%씩 삭감해 신규채용을 늘리도록 강제했다. 그러나 영업현장에 갈등이 불거지면서 불과 2년 만에 유야무야됐다.

입행 1년 차이로 적개는 700만원에서 많게는 1천만원씩 연봉을 덜 받는 직원이 생기면서 상대적 박탈감에 시달리던 신입직원들이 다른 민간기업으로 이탈하는 사례가 잇따랐다. 게다가 신규채용도 늘지 않았다. 정규직 신규일자리가 아니라 단기인턴직으로 채용을 늘리는 꼼수를 부리면서 부작용이 속출했다. 이번에도 같은 전철을 밟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사용자협의회 관계자는 "우려가 없지는 않겠지만 제대로 하면 가능하지 않겠냐"며 "시작 단계인 만큼 제대로 된 안을 만들어 노조와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