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비정규직 구조조정때 1차표적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유선 부소장은 24일 통계청이 지난해 8월 실시한`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결과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여성 노동자는 정규직이139만명(26.7%), 비정규직은 382만명(73.3%)으로 비정규직이 정규직의 3배에 가까운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런 결과는 통계청 조사(69.7%)에 포함되지 않은 비정규 상용직 비율을 분석해 나온 것이다.

남자는 정규직이 401만명(51.5%), 비정규직이 377만명(48.5%)으로 정규직 숫자가 조금 많았다.

이렇게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가 많은 것은 노동시장에서 성 차별적 고용관행이 계속 유지되고 있어 여성이 자신의 능력에 맞는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출산과 육아 등으로 경제활동을 중단했던 기혼 여성이 다시 직장을 구할 경우 정규직으로 취업하기 어려운데다 가사나 육아부담으로 노동시간 등에 제약이 많아 장기임시근로나 파트타임 등 비정규직에 취업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부소장은 “전체 남성 노동자 중 장기임시직으로 일하는 사람이 28.6%인데 비해, 전체 여성 노동자 가운데 장기임시직은 53.4%이고, 파트타임 노동자도 남자는 4.1%를 차지하고 있는 데 반해 여자가 13.5%로 남녀간 격차가 매우 크다”고 말했다. 금융산업노조에서 조사한 결과, 99년 한해 동안 조흥 한빛 제일등 18개 은행에서 퇴직한 여성 노동자 수는 2608명이었다. 그러나 이들 은행에서 근무하는 여성 비정규직은 97년 2336명에서 98년 4097명, 99년 6371명으로 급격히 늘어났다. 즉 정규직 여행원을 퇴직시키고 그 자리에 비정규직을 채워 넣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노동부 관계자는 “비정규직 여성노동자 비율을 줄이고 여성의안정적인 직업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실업자 재취업 훈련과 여성가장 실직자훈련 등각종 능력개발훈련을 실시하고 인턴사원제와 재학 중인 여대생의 기업연수 등을 실시하고 있으나 기업쪽의 의식변화가 없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여성계가 출산휴가의 확대와 유급 육아휴직 실시를 뼈대로 한 모성보호관련법안의 통과를 강력히 주장하고 있는 것도 이처럼 여성의 가사·육아부담을 완화해 주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없는 상태에서는 여성에 대한 고용환경조성이 힘들다는 판단 때문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