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평균 가구소득이 증가했음에도 국민 6명 중 1명은 빈곤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 자산 역시 늘어났지만 상위 10%가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자산 기준 지니계수 역시 0.592로 높은 수준이었다.

21일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이 함께 발표한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천924만원으로 전년보다 2.7% 늘었다. 처분가능소득은 가구소득 중 세금·사회보장분담금 같은 비소비지출금액을 제외하고 가구가 실제 사용가능한 소득을 뜻한다.

전체 가구 46% 사용가능 소득 3천만원 미만

그러나 전체 가구의 46%는 처분가능소득이 3천만원 미만이었다. 처분가능소득이 빈곤선(중위소득의 50%인 1천156만원) 이하인 인구 비율은 16.3%였다. 국민 6명 중 1명이 빈곤층에 속해 있다는 얘기다. 특히 가구주 연령이 66세 이상인 은퇴연령층 가구는 절반(49.6%)이 빈곤층이었다. 이마저도 2013년보다 3.3%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가구주 연령대별 가구소득 격차도 컸다. 지난해 연간 평균 가구소득은 4천767만원으로 전년보다 2.3% 증가했다. 50·40·30대의 가구소득은 각각 5천964만원·5천674만원·5천79만원으로 비슷했다. 반면 29세 이하는 3천429만원, 60대 이상은 2천884만원에 그쳤다. 젊은이와 고령자 소득이 상대적으로 적은 셈이다.

고령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했다. 올해 3월 기준 노후생활 준비에 부정적(잘돼 있지 않다 38%·전혀 돼 있지 않다 17.4%)으로 답한 가구가 55.4%로 절반을 넘었다. 지난해보다 2%포인트 늘었다.

이에 반해 노후 준비에 긍정적(잘돼 있다 7.4%·아주 잘돼 있다 1.4%)으로 답한 비율은 8.8%로 0.4%포인트 줄었다. 아직 은퇴하지 않은 가구주의 예상 은퇴연령은 66.2세였고, 이미 은퇴한 가구주의 실제 은퇴연령은 61.7세였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노동자 가구 소득이 6천211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자영업자 가구가 5천531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임시·일용노동자 가구는 2천747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소득 불평등보다 심각한 자산 불평등

올해 3월 말 현재 가구당 보유자산은 3억4천246만원이었다. 그러나 절반 이상(68%)이 평균에 못 미치는 3억원 이하(0~1억원 미만 33.5%·1억~2억원 20.7%·2억~3억원 13.8%) 자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3억~10억원 미만인 가구도 27.8%에 머물렀다. 4.2%에 불과한 10억원대 이상 가구가 평균을 크게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올해 상위 10분위(10%) 가구가 전체 순자산의 43.2%를 기록했다.

자산을 기준으로 한 지니계수는 지난해보다 0.002 하락한 0.592로 나타났다. 소폭 개선됐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지니계수는 0에 가까울수록 평등,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한 우리나라 지니계수는 0.302다.

가구의 평균 부채는 6천181만원으로 지난해보다 2.2% 증가했다. 금융부채가 전체의 69.9%(4천321만원)였고 임대보증금이 나머지(30.1%·1천860만원)를 차지했다.

부채를 보유한 가구는 전체 가구의 64.3%로 전년 대비 1.6%포인트 감소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110.1%로 지난해보다 2.3%포인트 증가했다. 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높아져 가계 건전성이 악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