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보험 노조의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 이사장 폭행 논란을 계기로 언론의 노조 죽이기가 본격화되고 있다.

겉으로는 사용자와 공권력에 대해서 비판을 제기, 양비론적 태도를 취하고 있지만, 결국은 노조의 파업을 집단이기로 몰아 비난여론을 조장하고 있다.

관치금융 철폐 등을 요구하며 금융산업노조가 7.11 총파업을 예고하고 있는 상황에서 노동계의 투쟁을 의사 폐업 등 기득권층의 집단이기주의와 싸잡아 매도하면서, 결국엔 정부 당국의 강경 대응을 공공연히 부추기고 있는 것이다.

언론은 6일 '정부 수습능력 잃었다'(조선)거나 '나라가 흔들린다'(국민)는 등의 자극적 제목의 기사와 사설 등을 통해 노조 파업을 의사 폐업과 한 데 묶어 집단이기로 규정하면서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언론은 "거리가 소란스럽다. 나라가 마치 흉흉한 소용돌이 속에 빠져 있는 것 같다"면서 그 이유를 "의약분업 분쟁이 전국을 강타"한 이후 "수만명 금융노련 등 각종 이익단체 그룹의 파업 시위 움직임"(조선)에서 찾았다. 또 "우리 사회의 갈등 해결 문화가 갈수록 조악해지고 있다"(동아)며 노·사·정 모두의 문제점을 지적했지만, 실제 롯데호텔 파업 당시 경찰의 과잉 음주 진압 논란이 우선 제기 됐음에도 불구하고 맨 먼저 사회보험 노조의 '폭력행사'를 지적하기도 했다.

더욱이 경찰의 음주진압과 롯데호텔의 성추행 문제는 '논란'과 '시비'라는 유보적 태도를 취하기도 했다.

언론은 이어 "이해당사자의 집단이기주의가 판을 치고 정부는 형평성을 잃은 채 무기력한 대응으로 일관해 여기저기서 사회근간이 위협을 받고 있다"(국민)고 하더니 결국엔 "이제는 그야말로 대통령이 나서야 할 때"(조선)라며 비장한 결단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런 언론의 논조와 보도 태도에 대해 금융산업노조의 한 간부는 "사회보험노조의 폭력사태를 부풀리기 해 정부와 경찰이 롯데호텔 폭력진압으로 궁지에 몰린 것을 희석시키고 관치금융 철폐를 위한 금융노조의 파업 마저 집단이기로 몰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언론노련 민주언론실천위원회 이광이 간사는 "사회보험노조 간부의 폭행이 문제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노조 파업 전체로 확대시키려는 보도태도는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