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아파트 분양물량이 2000년 이후 최대치로 폭증하면서 주택·금융시장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3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최근 아파트 분양물량 급증의 함의'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아파트 분양물량은 49만호에 달한다. 국토교통부의 중장기(2013~2022년) 주택공급계획상 아파트 추정물량(연평균 27만호)을 큰 폭으로 초과하는 수준이다. 2000~2014년 연평균 분양물량(27만호)의 두배 가까이 된다.

이에 따라 향후 주택수요가 증가하지 않을 경우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증가해 결국 건설사 현금흐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금융시장도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건설사는 분양시점에 총 분양금액의 60~70%를 집단대출 형태로 확보해 아파트 건설에 사용한다. 아파트 입주 시점에는 집단대출이 분양 잔금의 30~40%를 남기고 개인대출로 전환되는데, 이때 분양자가 입주하지 않거나 분양계약을 해지하면 건설사는 현금흐름에 제약을 받게 된다.

보고서는 올해 급증한 분양물량이 앞으로 준공 후 미분양 물량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하면서 올해와 같이 양호한 주택수요가 유지된다 해도 준공 후 미분양이 2018년 2만1천호로 증가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성장률 둔화와 주택수요 등 일부 여건이 악화할 경우 준공 후 미분양은 2018년 3만호까지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인호 거시경제연구부 연구위원은 "아파트 분양물량이 급증하면서 집단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세도 이어질 것 수 있다"며 "잠재적 위험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중도금에 대한 집단대출은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적용되지 않아 분양받은 사람의 상환능력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데, 이는 가계부채와 관련한 불확실성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송 연구위원은 "아파트 분양시점에 개인신용평가 심사를 강화해 집단대출의 건전성을 높이고, 미입주로 인한 부작용을 사전에 축소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