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 산업에 걸친 일자리 창출 효율성이 2009년 금융위기 때보다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현대경제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산업별 일자리 창출력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2005년 16.3명이었던 취업유발계수가 2013년 13.1명으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3.8명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취업유발계수란 10억원의 재화나 서비스를 만들 때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일자리수를 말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취업유발계수 하락은 제조업 일자리 창출 효율성이 크게 떨어진 데 기인했다. 제조업 취업유발계수는 금융위기 전인 2005~2008년 연평균 11.3명에서 금융위기 후인 2010~2013년 연평균 8.8명으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건설업 취업유발계수가 9.8명에서 9.5명으로, 서비스업은 18.7명에서 18.1명으로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떨어진 셈이다.

금융위기 이후 일자리 창출은 일부 산업에만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2004년 1천460만명이었던 서비스업 취업자는 지난해 1천784만명으로 324만명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제조업 취업자는 419만명에서 434만명, 건설업 취업자는 194만명에서 197만명으로 각각 15만명, 3만명 증가에 그쳤다. 특히 서비스업 취업자 증가 규모는 금융위기 이전 연평균 33만4천명에서 금융위기 이후 연평균 34만6천명으로 전체 취업자 증가 규모의 83% 수준에 이르렀다.

서비스업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저임금 직종인 보건 및 사회복지 분야에서 취업자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금융위기 이전 6만3천명이었던 해당 분야 취업자수는 금융위기 이후 13만9천명으로 두 배 넘게 늘어났다. 보건 및 사회복지 분야 임금수준은 지난해 270만원으로, 전 산업 평균임금(319만원)의 85% 수준에 그쳤다.

최성근 연구위원은 "금융위기 이후 보건 및 사회복지 분야 중심으로 취업자수가 크게 증가했지만 급여수준을 고려하면 질 낮은 일자리가 양산된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최 연구위원은 "일자리 창출 편중 현상과 효율성 개선을 위해서는 고용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규모를 확대하려는 정책이 시급하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