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가 자동차 100만대 생산도시(자동차밸리) 조성을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사회적 합의(사회통합)를 통해 광주형 일자리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매일노동뉴스>가 지난달 13일 오전 광주시청 시장실에서 윤장현(66·사진) 시장을 만났다.

- 민선 6기 공약사업으로 자동차밸리를 선택한 배경은.

“자동차산업은 광주시의 뿌리산업이다. 토대도 있다. 개인적으로 1998년 기아자동차 부도 당시 정상화를 위해 시민운동을 하면서 기아차 일자리가 지역경제에서 갖는 중요성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일자리를 새롭게 만드는 것이 결국 노동의 신성함과 존엄을 위한 길이라는 것을 학습했다. 뿌리에 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하지 않나.”

- 독일 슈투트가르트와 볼프스부르크 모델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들었다.

“세계적 금융위기 당시 미국 디트로이트와 독일 슈투트가르트·볼프스부르크의 대처방식이 달랐다. (위기 속에서) 그 지역이나 국가가 살아남는 문제는 일자리를 유지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에서 결정된다. 사회적 합의와 이해, 갈등조정 능력과 문화가 가장 큰 경쟁력이자 생존력이라는 데 주목했다.”

-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비판도 있다.

“국내에 자동차공장이 마지막으로 세워진 것이 10여년 전이라는 데 주목해야 한다. 전부 해외에 공장을 세운다. 왜 그럴 수밖에 없는지 생각해야 한다. 지금 7천만~8천만원 받는 노동자 자녀의 일자리는 어떻게 마련할 건가. 다음 세대 일자리를 어떻게 할 건가. 절박한 심정으로 우리 지역 젊은이들이 먹고살 만한 임금과 비정규직 없는 좋은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기아차 노동자들의 임금을 삭감할 것이라는 얘기가 있는데, 그건 사실이 아니다.”

- 자동차밸리를 추진하려면 노사민정 대타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어떤 의미인가.

“노사문제를 중앙정부나 공안기구 의제로 방치하는 것은 맞지 않다. 그래서 사회통합추진단을 신설했다. 그간 형식적으로 열렸던 노사민정협의회를 정례화하고 구체화하겠다. 산·학·민·관 대타협을 통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낸 독일 모델을 응용해 광주형 좋은 일자리 창출모델을 만들 생각이다.”

윤 시장은 박병규 전 금속노조 기아차 광주지회장을 사회통합추진단장으로 스카우트했다. 그는 “노조 위원장 출신 인사를 모시는 것도, 본인의 결단도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 민주노총까지 포함한 사회적 대화 활성화 방안은 있나.

“민주노총까지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올해 2월6일 현역 단체장으로는 최초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와 사회공공협약을 맺었다. 공공부문 간접고용 근절과 비정규직 처우개선을 위한 내용을 담았다. 민주노총과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만남의 자리를 자주 만들어 가겠다.”

- 자동차밸리를 조성하려면 현대자동차그룹의 참여가 관건인데.

“최근 현대차가 2018년까지 총 81조원을 투자해 완성차 품질 경쟁력과 브랜드 가치를 높이겠다고 해서 기대가 크다. 현대차가 당장 결론을 짓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겠지만 향후 경쟁력을 고려할 때 광주형 일자리보다 더 나은 방안은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