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노총 광주본부

광주광역시가 추진하는 자동차밸리를 통한 광주형 일자리 창출은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하고 있다. <매일노동뉴스>가 윤종해(54·사진) 한국노총 광주본부 의장과의 서면인터뷰를 통해 의견을 들어봤다. 윤 의장은 전력노조 광주전남지부 위원장과 공공노련 부위원장을 맡고 있다.

- 광주시가 추진하는 자동차밸리에 대해 한국노총 광주본부의 입장은 무엇인가.

“자동차 100만대 생산기지 조성을 위해 노사민정 대타협을 하는 데 적극 동참하고 있다.”

- 윤장현 시장은 독일 슈투트가르트 모델을 벤치마킹해서 사회통합(사회적 합의)을 통해 광주형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하는데.

“광주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사회단체가 광주정신을 계승해 서로 양보하고 더불어 잘사는 대안적 산업모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광주지역 노사민정 대타협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광주형 일자리가 기존 정규직 임금의 하향 평준화를 부를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기아자동차 연봉을 떠나 광주지역 일자리는 다른 도시에 비해 낙후해 있다. 물론 시작할 때부터 기아차 연봉을 따라갈 수는 없을 것이다. 광주지역 사회가 대타협을 통해 적정임금에 합의하고, 광주에 맞는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 자동차밸리를 조성할 만한 능력을 갖춘 곳이 현대차그룹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데.

“광주지역 사회가 소통하고 노사민정 대타협을 통해 발전적인 노사문화 정책 모델을 제시하고 기업이 투자할 수 있도록 만들 필요가 있다. 광주지역을 형성하고 있는 모든 사회단체가 협력해서 대타협을 이끌어 내고, 기업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 광주지역 노사민정은 어떤 준비를 하고 있나.

“자동차 생산기지 조성에 도움이 된다면 책임 있는 노동단체로서 노동생산성을 끌어올리고 제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용의가 있다.”

- 그간 광주 노사민정협의회 활동을 어떻게 평가하나.

“지역 일자리가 부족해 노사안정을 위한 공감대는 어느 정도 형성돼 있다. 하지만 광역단체장이 자주 교체돼 효율성이 떨어진 측면이 있다. 참여주체들도 양보하고 이해하려는 마음이 부족했다고 본다.”

- 민주노총이 광주 노사민정협의회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민주노총까지 포함한 사회적 대화가 가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제는 지역에서 먹고사는 것이 너무 어렵다. 지역의 책임 있는 노동단체로서 양보하고 배려하는 마음으로 노사민정협의회에 참여해 달라고 민주노총에 당부하고 싶다.”

- 지역 사회적 대화에서 무엇을 주요하게 논의해야 한다고 보나.

“현실적인 상황과 신뢰를 바탕으로 노사가 동반자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 한국노총 광주본부가 꼽는 광주지역 주요 현안은 무엇인가.

“중앙과 크게 다르지 않다. 원·하청 간 불공정 거래 해소와 일방적인 단가인하(CR) 척결, 비정규직의 정규화, 생활임금 확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