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윤정 기자

광주광역시가 추진하는 자동차밸리와 광주형 일자리는 어떻게 시작된 걸까. 그 배경에는 박병규(51·사진) 광주시 사회통합추진단장이 있다. 사실상 디자이너다.

<매일노동뉴스>가 지난 12일 광주광역시청에서 박병규 단장을 만났다. 박 단장은 금속노조 기아차지부 광주지회장을 지냈다. 그가 광주시로 자리를 옮길 때 연봉을 크게 낮춰다고 해서 화제가 됐다. 노조위원장 출신을 경계하는 눈길도 많았다.

- 전직을 결심한 이유는 뭔가.

“(윤장현 광주시장과 내가) 서로를 필요로 했기 때문이다. 지방선거 당시 윤 후보에게 내가 먼저 제안했다. 노조가 기업 안에만 머물 게 아니라 지역사회에 의제를 던지고, 그 의제를 선점해서 주도해 가야 한다고 말이다. 100만대냐 200만대냐의 문제가 아니다. 노동의 질이 나쁘지 않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기업의 투자 유인책이 무엇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기업이 부담스러워하는 임금문제와 노사관계에 대한 해법을 가졌을 때 의제화가 가능하다고 봤다.”

"폭스바겐 아우토5000 모델에 주목"

- 사회통합추진단의 핵심 업무는 무엇인가.

“광주시 노동정책을 만들어 내고 비정규직 개선·갈등관리·사회통합·노사관계 업무를 맡는다. 자동차밸리와 관련해서는 일자리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 독일 슈투트가르트·볼프스부르크 모델에 관심을 보이는데.

“슈투트가르트 모델은 지역거버넌스 모델로서 의미가 있다. 새로 공장을 만들어 광주형 일자리를 만드는 것으로는 볼프스부르크의 폭스바겐 아우토5000 모델이 좀 더 명확하다. 두 가지를 섞어 보려고 한다. 이 밖에 선진사례 중 좋은 게 있다면 적용할 것이다.”

박 단장은 “광주지역 노동자 연평균 임금은 2천만원 수준”이라며 “(아우토5000 같이) 4천만원짜리 임금을 받고 비정규직이 없는 양질의 일자리를 민선 6기가 만들어 보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노동자 권익과 노동조건을 보장하면서 기업 요구도 들어주는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사회적 대화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임금 양극화 해소하려면 노동자 내부 타협 필요"

- 민주노총 광주본부는 임금 하향평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우려하는데.

“광주지역 대학생에게 선망하는 직장과 임금을 조사했더니 연봉 3천500만원의 대기업이라고 답했다. 4천만원짜리 일자리가 나쁜 일자리가 아닌 셈이다. 국내 완성차업체는 큰 수익을 창출하는데도 협력사나 비정규직에게 정당한 몫이 돌아가지 못한다. 그런 일자리가 좋은 일자리인가. 일자리 양극화 해소를 위해 노동자 내부에서도 타협이 필요하다.”

- 윤장현 시장은 노사민정 대타협을 말한다. 박 단장이 생각하는 사회통합 방식은.

“명칭이 중요한 것 같지는 않다. 노사정은 물론 학계·종교계·언론·정치권 등 모두가 함께하는 사회통합 모델을 만들 것이다. 아래로부터 그런 과정을 거치겠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