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3일은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 이소선 여사가 영면한 지 3주기가 되는 날이다. 1970년 11월13일 서울 청계천 평화시장에서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고 외치며 분신한 전태일 열사는 어머니에게 “내가 못다 이룬 일을 어머니가 대신 이뤄 주세요”라는 마지막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이소선 여사는 2011년 9월3일 목숨을 다할 때까지 아들의 유언을 지키는 데 한 치의 흐트러짐도 없었다. 매일노동뉴스는 이소선 여사 3주기를 맞아 <이소선 평전-어머니의 길>을 연재한다. 저자 민종덕 전 전태일기념사업회 상임이사는 1990년 이소선 여사 회갑 즈음에 구술을 받아 평전을 집필했다. 당시 1979년의 삶까지 담았는데, 이번에 그 이후 삶을 보강할 예정이다. 평전은 오마이뉴스와 동시에 연재된다.<편집자>


정보당국은 허를 찔렸다고 생각한 것인지 몰라도 안전기획부·경찰 등 기관원들은 즉각 이소선과 추도위원장을 감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추도식을 준비하는 추도위원회에서는 추도식을 홍보하기 전에 이미 추도식 준비를 끝내 놓고, 당국의 감시도 예상해 그에 대비해 놓은 상태였다. 경찰·안기부 요원들은 기관에 따라 근거리·원거리에서 이소선과 민종덕을 따라다녔다.

그러다가 레이건 미국 대통령의 방한이 가까워지자 그들(기관원)은 이소선 등을 아예 집에 연금시켜 버렸다.

레이건 방한 앞두고 눈치 보는 독재정권

사복경찰은 원거리에서 잠복하고, 기관원 서너 명은 대문 앞에서 24시간 상주하면서 완력으로 집 밖에 나가지 못하게 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감시하는 기관원들이 가택연금 대상자한테 친한 척하면서 슬금슬금 집 안으로 들어오려고 시도하기도 했다. 그럴 때는 대문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해야 한다. 그들이 한번 집 안으로 들어서게 되면 기관원들이 집 안으로 들어오는 것이 관례가 돼 버린다. 추운 날씨에 밖에서 떨고 있는 기관원들을 보자니 인간적으로는 미안하지만 어쩔 수 없다. 이런 사정을 잘 아는 이소선은 냉정하게 대응했다.

12·12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전두환은 이른바 체육관선거를 통해 대통령에 당선됐다. 정권의 정통성은 고사하고 광주 학살을 자행한 살인독재자에 불과했다. 이렇게 등장한 정권에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방문한다는 것은 독재정권을 인정한다는 의미다. 레이건 또한 극우파로서 한국의 독재정권 지원을 약속하고 그 일환으로 방한하게 된 것이다.

재야 민주인사들은 레이건 방한을 적극 반대했다. 연일 레이건 방한 반대집회를 열었다. 레이건 방한을 앞두고 광화문 네거리에 세워진 환영 아치가 불태워진 사건도 일어났다. 레이건 방한을 계기로 미국 등 외신에서는 한국의 정치·인권 상황에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당국은 아들 추도식에도 참석하지 못하게 이소선을 가택연금시켜 놓았다는 외신보도가 나가는 것을 부담스러워했을 것이다. 그래서였을까. 이소선은 추도식 당일 가택연금에서 풀려나 추도식에 참석할 수 있었다.

추도위원장 역시 추도식 당일에 행사에 참석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강력하게 항의하자 기관원들이 순순히 길을 터 줬다. 대신 버스를 타고 가겠다는 그를 강제로 자신들의 차로 집결장소까지 태워다 줬다.

이소선은 집결장소인 동대문종합시장 주차장에 도착했다. 집결장소에는 청계피복노조 조합원들을 비롯해 많은 노동자·민주인사들이 앞서 도착해 기다리고 있다.

그런데 사복경찰들이 사방에 깔려 있고, 주차장 주변에는 기동대 버스가 진을 치고 있는 것이다. 사복경찰들은 무전기를 들고 바쁘게 움직이면서 상황을 보고하고 있었다.

아울러 사복경찰만큼 바쁘게 움직이는 사람들이 있었다. 다름 아닌 외신기자들이었다. 레이건 방한에 동행한 외신기자들이 대거 몰려와 커다란 카메라와 마이크를 메고 분주하게 취재를 하고 다녔다.

추도위원회는 추도식 당일 아침 10시까지 관광버스 4대를 주차장까지 대기로 관광버스회사와 계약을 했다. 그런데 약속된 시간이 됐는데도 버스가 오지 않았다. 참석자들이 웅성거렸다. 약속된 시간보다 30분이 더 지나서야 버스 한 대만 왔다. 추도위원장이 버스 기사한테 어떻게 된 영문이냐고 물었다. 버스 기사는 우물쭈물하면서 대답을 하지 못했다. 버스회사에 전화를 걸어 사정을 물어봤더니 명쾌한 대답을 하지 못하고 얼버무리는 것이다. 추도위원장은 기관에서 버스회사에 압력을 넣어 추도식 행사를 방해하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즉각 이러한 사정을 참석자들한테 알렸다.

"여러분 (정보)기관에서 관광버스 회사에 압력을 넣어 버스가 한 대밖에 오지 않았습니다. 여기 이 자리에서 추도식을 합시다."

이에 이소선과 청계노동자들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일제히 한목소리로 외쳤다.

"좋지요. 여기서 하면 더 좋지요."

외신기자 출현하자 우왕좌왕하는 경찰

모두 바닥에 주저앉았다. 동시에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참석자들이 이렇게 나오자 경찰은 긴장했다. 경찰 우두머리가 대열 앞에서 노래를 지휘하는 조합원을 끌고 가려고 했다. 그러자 대열에서는 더 크게 노래를 불렀다. 지휘하는 조합원은 경찰을 뿌리치면서 의연하게 선동했다. 이런 광경이 펼쳐지자 커다란 카메라를 멘 외신기자들이 몰려와 취재를 하기 시작했다. 기자들은 경찰들한테 카메라를 바짝 들이밀었다. 그러자 사복경찰들의 우두머리로 보이는 사람과 동대문경찰서 정보과장이 부하들에게 소리를 질렀다.

"안 보이는 데로 가란 말이야, 안 보이는 데로!"

떼 지어 있던 사복경찰들이 우르르 주차장 밑 차 뒤로 숨어 버렸다. 이 모습을 지켜보던 추도식 참석자들이 노래를 부르다 말고 박장대소를 했다. 경찰이 우왕좌왕하면서 상급자의 명령에 몰려다니며 숨는 모습이 우스웠던 것이다.

참석자들은 쉬지 않고 노래를 부르며 농성을 했다. 외신기자들은 이 광경을 계속 찍었다. 정보과장은 안 되겠다 싶었던지 이소선과 민종덕한테 와서 버스를 한 대만 더 보내 주겠다고 했다. 민종덕은 "쓸데없는 소리 하지 마라 우리가 계약한 네 대를 지금 당장 보내라"고 쏘아붙였다.

그러자 버스가 한 대씩 띄엄띄엄 왔다. 한 대씩 보내면서 참가자들의 태도를 보려는 것이었다. 세 대까지 감질나게 보내 주자 추도위원장이 또다시 선동을 하고 나섰다.

"여러분, 우리 모두 마석 모란공원까지 걸어갑시다. 경찰이 버스를 보내 주지 않아서 부득이하게 걸어갈 수밖에 없습니다. 전태일 동지 추도식 플래카드를 앞세우고 몇 시간이 걸리더라도 기어이 마석에 도착해서 추도식을 거행합시다."

참석자들은 일제히 일어나서 줄을 섰다. 그리고 추도식 플래카드를 맨 앞줄에 세웠다. 이어 주차장을 나서기 시작했다.

그러자 경찰은 바짝 긴장했다. 기동대가 급히 움직였다. 페퍼포그도 따라 움직였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정보과장이 버스회사에 전화해서 왜 버스를 빨리 보내지 않느냐고 큰소리로 통화를 하는 것이다.

낮 12시30분이 넘어서야 마지막 버스가 도착했다. 참석자 모두 함성을 지르며 차에 타고 마석으로 향했다. 버스 4대로 모자라 서서 가는 사람까지 있었다.

이날 추도식에는 청계노동자뿐만 아니라 70년대 민주노조·재야 인사들이 많이 참석했다.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노조가 하나도 남김없이 파괴됐던 그동안의 어둠을 불사를 불씨가 지펴지는 순간이었다.

민종덕 전 전태일기념사업회 상임이사
<계속 이어짐>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