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미
영화평론가

이달 15일 매일노동뉴스에서 주최하는 ‘2015년 노사정 신년회’가 있었다. 노회찬·천영세를 비롯해 노동계 사람들 100여명이 모이는 큰 행사였다. 정기기고자로 초대받은 나는 입구에서 식당직원의 안내를 받았다.

“닭볶음탕을 드시려면 이쪽으로 앉으세요.” “다른 메뉴는 뭐가 있는데요?” “보신탕이죠.”

이곳은 보신탕 전문식당이었다. 실내엔 특유의 냄새로 꽉 차 있었다. 반려견 세 마리와 사는 나는 당혹스러웠다. 개고기 먹는 것을 처음 봤다거나, 누구도 개고기를 먹어선 안 된다고 말하려는 게 아니다. 세상에는 개고기를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고, 이분들끼리 즐기는 것을 비난할 수도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다수의 사람들이 모이는 공식 회식을 굳이 보신탕 전문식당에서 해야 했는지 의문이다. 듣자니 매일노동뉴스의 2013년 송년회도 이곳에서 열렸다고 한다. 과거에 매일노동뉴스가 입주해 있던 동네의 식당으로 ‘노동계 어르신들의 단골’이기도 하고, 1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흔치 않은 식당이라는 점 등이 작용했다고 한다.

개고기는 선호가 뚜렷한 음식이다. 개고기를 먹는 사람과 먹지 않는 사람은 정해져 있다. 입맛이나 문화적 취향, 정치적 견해까지 포함돼 애호와 혐오로 갈린다. 하지만 개고기를 먹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안내는 없었다. “새해를 따뜻하게 몸보신하면서 시작할 수 있도록”이란 초대문자가 전부였다. 개고기를 먹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닭볶음탕이 마련됐지만 모자랐다. 딱 40인분만 준비한 탓에 늦게 도착한 이들은 식탁 위의 남은 음식으로 허기를 채워야 했다. 닭볶음탕과 보신탕의 가격 차이는 세 배다. 닭볶음탕을 먹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평등과 배려를 누렸다고 느끼긴 힘들지 않을까.

노동당이나 여성단체 등의 회식에서 소수의 채식주의자들과 그들을 위한 배려를 봐 왔던 나로서는 개고기를 먹지 않는 사람들을 배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메뉴를 선정한 회식이 기이하게 느껴졌다. 더욱이 2013년 송년회에 이어 두 번째라니 더 이상했다. 만약 채식주의자와 무슬림이 절반 정도 차지하는 어떤 단체에서 번번이 삼겹살집에서 회식을 하고,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 사람들에겐 비빔밥을 줬다면 이건 차별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우리 민족의 전통음식인 개고기 합법화를 위하여!”라는 농담 반 진담 반의 건배사가 울려 퍼졌다. 개고기 합법화라…. 개식용은 현재 합법도 불법도 아닌 법외 지역에 놓여 있다. 육류의 도살과 부패, 항생제 사용 등은 법적으로 관리돼야 한다. 그러나 개를 합법적으로 도살하는 나라가 없다 보니 국제기준이 없다. 한국 정부가 이를 독자적으로 만들어 보편화하기도 어렵다. 합법도 불법도 아니다 보니 동물학대와 비위생적인 생산·유통을 막을 수 없다. 개는 충성심과 공격성이 강해서 집단사육이 어렵고, 학대나 항생제 남용이 필연적으로 일어나지만 아무도 모른다.

개식용을 오만한 서구인들의 부당한 혐오에 맞서 지켜야 할 민족문화로 보는 시각은 1980년대식이다. 이미 국내 애견인구가 1천만명에 달한다. 개식용자가 싸워야 할 상대는 브리짓 바르도가 아니라 평범한 이웃인 것이다. 게다가 요즘은 한국보다 중국의 개식용이 국제사회에서 더 입에 오르내린다. 어디다 전선을 그어야 할까.

민족의 전통이라는 개식용은 과거 마당에서 기르던 개를 복날에 잡아먹던 문화를 일컫는다. 키우던 개를 잡아먹다니 야만스럽다고 말하지만, 차라리 그때는 보양과 죄의식 사이의 윤리적 긴장을 놓치지 않았고 소규모 식용만 가능했다는 점에서 오히려 인간적이다. 그보다 더 야만스러운 것은 공장식 축산을 통해 공급받은 익명의 개들을 사시사철 대량으로 먹어 치우는 지금이 아닐까.

개식용자들은 식용견과 애완견이 다르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런 구분은 먹는 사람 마음 편하자고 구사하는 논리에 불과하다. 실제로 식용견과 애완견은 품종으로나 생애사적으로나 구분되지 않는다. 애완견으로 키워지다가 유기되거나 병들거나 안락사 당한 개들이 도축돼 식용으로 팔린다. 품으면 애완견이고, 먹으면 식용견이다. 즉 인간이 개를 어떻게 대하느냐에 달려 있을 뿐이다.

우리나라 인구의 5분의 1 이상이 개를 가족처럼 키우고 있다. 그런데 한편에서는 여전히 개식용이 이뤄지며, 심지어 100여명이 모이는 공식 회식이 보신탕집에서 이뤄진다. ‘민족의 전통’이란 건배사가 떠나질 않는다.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일방적인 문화가 민족의 전통이라면 전통인 걸까.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