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와 올해 사고로 10명이 사망한 현대제철 당진공장이 산업재해 사실을 가장 많이 은폐한 것으로 드러났다.

고용노동부는 27일 지난해 산업재해율이 높았거나 사망사고가 많이 발생한 사업장 등 294곳을 홈페이지에 공표했다고 밝혔다. 공표 대상 사업장은 연간 재해율이 동종 평균재해율 이상인 사업장 중 상위 10%에 해당하거나 연간 사망재해자가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산재 발생에 관한 보고를 최근 3년 이내에 2회 이상인 곳이다. 중대산업사고가 발생한 사업장도 공표 대상이다.

공표된 산업재해 다발 사업장 중 산재 보고의무를 다하지 않은 사업장은 21곳으로 이 중 현대제철이 20건 위반으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현대제철 당진공장은 사망사고가 잦아 ‘죽음의 공장’이라는 오명을 받아왔다. 여기에 산재은폐도 많다는 오명을 덧쓰게 됐다. 특히 이번 통계는 원청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산재가 빈발하는 하청노동자까지 포함할 경우 은폐건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5월 당진공장 하청업체인 한국내화 소속 노동자 5명이 유출된 아르곤 가스에 질식해 사망했고 지난해 10월과 11월에는 추락사고가 발생해 2명이 사망했다. 지난해 11월에는 공장 내 발전회사인 현대그린파워에서 가스가 유출돼 노동자 1명이 사망했고, 지난해 12월에는 협력업체 유젯 소속 노동자 1명이 보수작업 중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변을 당했다. 당진공장에서 잇따라 사망사고가 발생하자 고용노동부는 12월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해 총 452건의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사례를 적발했다.

최명선 민주노총 노동안전국장은 “3년 동안 20건에 달하는 산재사고를 은폐한 것은 산재에 대한 경영진의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사례”라며 “산재가 발생하면 사업주는 사고원인을 조사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세워야 하는데 은폐하려고 하니 산재사고가 줄지 않고 늘어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 국장은 “산재가 발생했을 때 은폐하지 말고, 위험업무를 도맡아 하는 하청업체 노동자가 원청업체 노동자와 함께 산재예방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현대제철에 이어 마니커(13건)·광우개발(10건)이 산재 은폐가 많았다. 사망사고가 가장 많은 사업장은 동아지질(7명)·유한기술(6명)이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