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3일은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 이소선 여사가 영면한 지 3주기가 되는 날이다. 1970년 11월13일 서울 청계천 평화시장에서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고 외치며 분신한 전태일 열사는 어머니에게 “내가 못다 이룬 일을 어머니가 대신 이뤄 주세요”라는 마지막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이소선 여사는 2011년 9월3일 목숨을 다할 때까지 아들의 유언을 지키는 데 한 치의 흐트러짐도 없었다. 매일노동뉴스는 이소선 여사 3주기를 맞아 <이소선 평전-어머니의 길>을 연재한다. 저자 민종덕 전 전태일기념사업회 상임이사는 1990년 이소선 여사 회갑 즈음에 구술을 받아 평전을 집필했다. 당시 1979년의 삶까지 담았는데, 이번에 그 이후 삶을 보강할 예정이다. 평전은 오마이뉴스와 동시에 연재된다.<편집자>

남의 집 처마 밑에서 생활한 지도 어느덧 3개월이 흘렀다. 남편은 노동일을 계속하더니 천막 하나를 구해 왔다. 남대문 육교 근방 천막촌으로 옮겨 갈 수 있었다.

천막촌의 생활이라는 것이 빗물이나 겨우 피할 수 있는 정도였다. 잠은 그대로 맨땅에서 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골목이나 남의 집 대문 앞에서 살던 이들 천막이나마 비를 피할 곳을 마련했으니 얼마나 기뻤겠는가.

‘내 집’을 가졌다는 생각에 비록 맨땅이었지만 그렇게 편안할 수가 없었다. 집 없는 서러움 속에서 거리에 내동댕이쳐져 있었는데 천막집이었지만 ‘내 집’이라는 생각을 하자 생활은 자리를 잡아 나갔다.

그나마 다행으로 천막집을 마련할 무렵 넷째를 낳았다. 이름을 순덕이라고 지었다.

처마 밑에서 남대문 육교 근방 천막촌으로

천막집으로 옮긴 이후에도 남편은 집에 들어오는 날이 많지 않았다. 여기저기 일자리를 구하러 다니느라고 정신이 없는 눈치였다. 그렇지만 앞으로는 절대로 걸식생활은 하지 않겠다고 이소선은 다짐했다. 그런 생활에서 아이들을 제대로 키울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뭐든 먹고살 길을 찾아 나서야만 했다. 땡전 한 푼 없는 이소선이 어디 가서 돈을 벌 수 있겠는가. 이소선은 곰곰이 생각하다가 장사를 하기로 했다. 결정은 했지만, 돈 드는 것은 아예 꿈도 꿀 수가 없었다. 무얼 할까 며칠 동안이나 궁리를 하다가 팥죽을 끓여서 팔기로 했다. 사실은 자신의 처지를 돌아본다면 팥죽 한 그릇 끓여서 팔 여유도 없었다.

그런데 가만 보니 이웃 천막집에서는 팥죽장사를 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는 것이었다. 이소선은 남들이 어떻게 하는가를 유심히 지켜봤다. 땔감은 남대문시장에서 구하기로 했다. 시장바닥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종잇조각, 아이스케키(아이스케이크) 대, 상자 찢어진 것을 부지런히 모았다.

이소선이 시장을 돌면서 땔감 거리를 주우러 다니는 것은 괜찮지만 태일이가 문제였다. 이소선은 태일이한테만은 길바닥에서 무언가를 못 줍게 단단히 주의를 줬다. 어렸을 때부터 아이가 길바닥을 돌아다니면서 아무거나 줍는다는 게 좋지 않다고 생각했다.

이소선은 땔감거리는 무엇이든지 주워서 팥죽을 끓였다. 팥죽 끓이랴 땔감 구하러 다니랴 아이들 거둬 먹이랴 몸이 몇 개라도 모자랄 지경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장사를 하고 돌아와서 땔감을 구하러 나가려고 하는데 천막 밖에 나무 땔감이 쌓여 있는 것이 아닌가. 흔하지 않은 나무 땔감이 어떻게 여기에 있는 것일까. 알고 봤더니 7살 난 태일이가 동생을 업고 시장을 돌아다니면서 나무를 주워 날랐던 것이다.

‘이 어린 것이 지 어미를 이토록 생각하는 것인가.’

이소선은 태일이의 마음 씀씀이가 여간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줍는 것을 못하게 말렸는데도 엄마가 고생하니 훔치지만 않는다면 괜찮다고 생각했나 보다. 태일이는 나무만 주워 오는 것이 아니었다. 팥죽을 팔고 돌아오니 밀가루 반죽까지 해 놓았다. 밀가루 반죽은 어른도 하기 힘든 일이다. 며칠 뒤에는 밀가루 반죽을 너무 잘해 놓았다. 엄마가 보기에도 아이의 솜씨로는 도저히 이렇게 할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태일아, 이 반죽은 누가 해 줬냐?”

“내가 했어.”

“네가 어떻게?”

팥죽 끓일 땔감 줍고 밀가루 반죽하는 태일

이소선은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아이가 어떻게 밀가루 반죽을 할 수 있단 말인가.

“보자기에 물을 적신 밀가루를 넣고 그 위에 비닐을 깔고 발로 밟았어요.”

그러면서 이쪽저쪽 발로 밟았다고 한다. 식당에 있는 주방장이 한 것처럼 잘도 이겨 놓았다.

태일이는 엄마를 도울 수 있는 일이든, 뭐든 어떤 일을 하려고 하면 한참 궁리를 하고 노력하는 습성을 어릴 때부터 가졌다.

이소선은 어린 태일이를 바라보면 대견하다는 생각이 절로 났다. 태일이가 엄마를 돕겠다고 하는 것이 고마워서가 아니다. 아직 어린 것이 어쩌면 그런 궁리까지 해 가며 어미를 도우려고 할까. 아무리 자신이 낳은 아이지만 다른 아이들과 특별히 다른 데가 있었다.

'어떻게 해서든지 아이들만큼은 잘 키워 보자. 우리가 비록 지금 사는 모습이 사람 같지 않더라도 이 모든 어려움을 겪어 나간다면 나중에 큰 인물이 되겠지, 악착같이 살아야 한다. 저 자식들을 위해서라도 하루빨리 좀 더 나은 생활을 꾸려야 한다.'

살아 보려고 아무리 발버둥 쳐도 뜻대로만 되는 것은 아니었다

남편은 자식들한테 자상한 편이 아니었다. 그래도 자식이니만큼 아내가 하는 것처럼 늘 관심은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남편의 관심과 교육 방식은 엄마와는 딴판이었다.

태일이가 남편한테 얻어맞고 있는 것을 이소선이 본 적이 있었다. 태일이가 시장바닥에서 아이스케키 대 같은 나무 조각을 주워 오다 아버지에게 들키고 만 것이었다. 남편은 어린 아들의 행동이 잘못됐다고 생각하고 어린 것을 세워 놓고 야단을 치더니, 나중에는 심하게 매질까지 하는 것이었다. 어쩌면 아버지가 돼서 어린 아들을 저렇게까지 때려야 했을까. 비록 가난하고 못살지만 자식들은 잘 키워 보고 싶어서 그랬을 것이지만, 그 방법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해 남편과 다투기도 했다.

이소선의 가족이 모두 나서 살아 보려고 아무리 발버둥 쳐도 일이 뜻대로만 되는 것은 아니었다. 남편이 살아 보려고 무슨 일을 벌여 놨는지 이제는 천막집까지 남에게 넘어가게 되는 일이 터지고 말았다. 남편은 답답한 나머지 천막집을 저당 잡히고 돈을 쓴 모양이었다.

하루는 팥죽장사를 나가려 하는데 어떤 사내가 오더니 천막집을 내놓으라는 것이다. 이소선은 뜬금없는 소리에 입이 딱 벌어졌다. 그 사내는 남편에게 돈을 빌려 준 사람이었다. 친막집이나마 내 집이라고 생각하고 살아왔는데 그 집을 비우라니 날벼락이 떨어진 것만 같았다. 사내는 막무가내로 집을 비우라고 하지, 남편은 나타나지 않지, 이 일을 어찌할 것인가. 돈 빌려 준 일을 눈으로 보지도 못했고 빌려 썼다는 말을 듣지도 못했다. 사내가 윽박지르는 것을 가만히 보니까 분명 남편이 빌려 쓴 것이 맞는 것 같았다.

천막집까지 저당 잡힌 남편

사내는 조금도 사정을 봐주지 않았다. 눈 딱 감고 집만 비우라고 했다. 불을 보듯 뻔한 형편 아닌가. 여기서 쫓겨나가면 어디로 간 단 말인가. 아무리 사정을 해도 그 사내는 들은 척도 안 했다. 돈이 원수다. 사람이 어찌 저럴 수가 있단 말인가. 이소선은 생각을 곱씹어 봐도 그 자리에서 천막을 비워 줄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태일이 아버지가 알지도 못하는 사이에 빌려 썼는데, 어떻게 그 사실을 알 수가 있어요? 당사자가 없는 판인데 함부로 집을 내줄 수는 없잖아요. 지금 당장 집을 비워 줄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비워 준다면 당장 어디로 간 단 말이에요?”

이웃 천막에 사는 사람들이 너나없이 들고 일어나서 편을 들어줬다. 이소선은 이웃들의 한마디가 그렇게 고마울 수가 없었다.

‘그래도 없이 사는 사람들이 내 사정을 알아주는구나.’

이소선은 어떻게 해야 할지 알 수가 없었다. 남편이 빌려 쓴 돈에 대해 책임을 안 질 수도 없고, 그렇다고 당장 거리로 나설 수도 없는 형편이다.

“엄마, 천막 저 아저씨한테 내줘요. 아버지가 돈을 빌려 쓰고 천막을 주겠다고 했다면서요. 그런데 안 주면 어떻게 해요?”

태일이는 천막을 비워 줘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어린것의 의견이 그러하니 이웃에 사는 아주머니들이 놀라는 눈치다. 이소선은 아들의 의견을 듣고 의외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린 태일이었지만 무슨 까닭에서 그런 의견을 가지고 있었나 싶었다.

“태일아, 천막을 비워 주면 우리는 어디서 잔단 말이냐?”

“아무 데서나 잘 수 있어요. 아버지가 천막을 비워 준다고 약속했으니 천막을 비워 줘야 해요.”

이소선은 태일이의 결심을 듣고 용기를 냈다.

“그래 아버지가 하신 일이니 어찌할 수 없지. 설마 죽기야 하겠냐. 이것 없이도 우리는 여태껏 잘도 살아왔는데.”

그렇게 해서 이소선은 천막을 비워 줬다.

막상 천막을 비워 주니 당장 갈 곳이 없었다. 그나마 생활의 보금자리로 든든하게 여기고 살아온 든든한 천막촌이 아니었던가. 이곳을 차마 떠날 수 없었다.

이소선은 천막을 비워 주고 땅바닥에 주저앉아 시름에 잠겼다. 이웃사람들이 어떻게 해서라도 이곳에서 살아 보라고 한다. 천막과 천막 사이에는 빈고랑 같은 공간이 있었다. 이소선은 거기에 비닐을 깔았다. 옷가지를 이불삼아 덮고 그 비닐바닥에 누웠다. 어린애 셋을 데리고 이슬이나 피하는 정도였다.

이소선은 자리에 누워 태일이에게 넌지시 물었다.

“태일아, 너 천막을 비워 주자고 하더니 이렇게 웅크리고 자는 것 좋으니?”

“그래 좋아. 엄마가 항상 말했잖아. 남에게 빚지거나 신세지고 사는 것보다는 이게 훨씬 편하지 뭐.”

태일이는 한 치의 구김살도 없이 대답했다.

“남한테 신세지느니 땅바닥에서 자는 게 편해”

이소선은 한결 마음이 가벼워졌다. 어린것이 잠자리가 불편하다느니 이런 데서 어떻게 잘 수가 있느냐고 투정이라도 부린다면 얼마나 딱한 노릇인가. 그럴수록 이소선은 부모로서 의무를 제대로 못하고 있다는 생각에 침울해했다.

어린것이 부모한테 불평이라도 한다면, 비록 내 자식들이지만 어찌 부끄럽지 않겠는가. 무슨 말로 변명을 할 수 있을 것인가.

이소선은 비닐을 깔고 자는 생활 속에서도 팥죽장사를 계속했다. 그것마저 못하면 당장 굶어 죽을 판이었다. 한데서 솥을 걸고 네 식구 밥해 먹기도 힘든 판인데 팥죽장사까지 하려니 힘든 날들의 연속이었다.

어느 날 비가 내리고 있었다. 남편은 아예 식구들을 버린 듯 찾아오지도 않았다. 네 식구가 비닐천막 밑에 쪼그리고 앉아 비를 피하고 있었다. 태일이가 비를 쳐다보더니 무심코 입을 열었다.

“나는 앞으로 높은 사람이 될 끼다. 그래 가꼬 집 없는 사람들에게 억수로 많이 집을 지어 줘야지.”

이소선은 그 말을 듣고 내심 기뻤다. 그렇게 되기를 늘 바라고 있었지만 태일이의 생각을 확인하고 싶었다.

“그래, 태일아 니가 언제 커서 높은 사람이 되겠냐. 이렇게 가난하게 살면서 어떻게 높은 사람이 된단 말이냐?”

태일이는 막힘이 없이 대답한다.

“엄마가 늘 말했잖아. 우리도 언젠가는 남부럽지 않게 살 수 있을 거라고. 아무리 가난하게 살아도 참고 견디면서 정직하게 살면 훌륭한 사람이 된다고 했잖아.”

태일이는 엄마를 쳐다보더니 오히려 나무라는 투다. 엄마는 태일이의 말을 들으면서 대견하다고 생각했다. 그렇게라도 말을 하지 않았으면 정말로 이소선은 실망했을 것이다. 태일이한테 늘 그런 식으로 타일러 왔고 그렇게 될 수 있다고 말해 왔지 않았던가.

“그래, 우리 태일이는 참 착하고 똑똑해.”

이소선은 어린 아들의 소원이 이뤄지길 마음속으로 빌었다.

비는 쉬지 않고 내렸다. 점심을 먹는데 빗물이 비닐천막 끝에 매달려 뱅글뱅글 돌더니 똑 하고 떨어졌다. 태일이가 밥숟가락을 빗방울에 갖다 대더니 빗물을 맛있게 먹었다.

“너 밥 먹다가 그게 뭐하는 거냐?”

이소선은 수저를 들다가 물었다.

“난, 이렇게 하는 게 재밌어.”

태일이는 물방울이 떨어지기를 기다리며 귀엽게 웃었다.

‘저 애가 왜 저린 장난을 치는 걸까. 정말 어린애니까 재미있어서 그러는 것일까?’

태일이는 나이는 어리지만 빗물을 받아먹을 정도로 어리광을 피우거나 장난꾸러기가 아니었다.

‘우리가 이렇게 천막 아래에서 살아서 그럴까? 고생하는 이 엄마를 위해 일부러 즐거운 표정을 짓고, 기쁘게 살려고 저런 장난을 하는구나.’

천막촌에서 망우리로, 다시 도동으로

태일이는 엄마한테 부담을 주지 않으려고 자기가 알아서 재롱을 피우는 어른 아닌 어른이 돼 있었다. 전쟁과 가난이 어린애를 조숙하게 한 것이다.

어느 이발소 앞에서의 일이다. 어떤 남자가 돈을 떨어뜨리고 자전거를 타고 그냥 가 버렸다. 태일이는 달려가서 그 돈을 주웠다. 돈을 주워 들고 주인에게 돌려주려 했지만 자전거는 이미 멀리 사라져 버렸다. 마침 그때 이발소에서 나오던 어른이 태일이를 보고 돈을 빼앗으려고 했다.

“아저씨 돈이 아니에요. 내가 가지고 있다가 그 주인이 다시 오면 돌려주겠어요. 왜 남의 돈을 뺏으려고 해요?”

태일이는 아등바등했지만 그 어른한테 돈을 빼앗기고 말았다. 태일이는 그길로 집으로 돌아왔다. 이웃집 아주머니에게 사정을 얘기하고 이발소까지 함께 갔다. 이발소 주인을 만나 어떻게 해서든지 그 돈을 받아 달라고 사정사정했다.

“돈을 잃어버린 사람이 나타날 때까지는 내가 가지고 있어야 돼요. 내가 주운 돈을 빼앗아 간 아저씨는 나쁜 사람이에요. 내가 주운 돈을 빼앗아 간 아저씨는 분명히 돌려주지 않고 그냥 가지려고 하는 거란 말이에요.”

태일이는 돈을 빼앗은 그 어른이 호주머니에 집어넣고 간 것을 두고 말하는 것이었다.

함께 간 아주머니하고 이발소 주인도 나서 기어코 그 돈을 다시 찾아왔다. 태일이는 어릴 때부터 옳다고 생각하는 일에는 굽히지 않고 자기 뜻을 이루고야 마는 성미였다.

천막촌에 철거명령이 떨어졌다. 천막조차도 없는 이소선네 식구들은 부담 없이 미아리 공동묘지 근방으로 갔다.

이 무렵 남편은 남대문시장에서 제품공장 일을 나갔다. 이소선네 식구들은 미아리 공동묘지 근처에서 8개월을 살았다. 어찌 된 판인지 가진 것도 없는 가난한 동네에 강도가 많아서 도저히 마음 놓고 지낼 수가 없었다. 이들 집에도 어느 날 밤 강도가 들이닥쳤다. 다시 거처를 옮겼다. 이번에는 도동으로 옮겼다.

민종덕 전 전태일기념사업회 상임이사

<계속 이어짐>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