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3일은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 이소선 여사가 영면한 지 3주기가 되는 날이다. 1970년 11월13일 서울 청계천 평화시장에서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고 외치며 분신한 전태일 열사는 어머니에게 “내가 못다 이룬 일을 어머니가 대신 이뤄 주세요”라는 마지막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이소선 여사는 2011년 9월3일 목숨을 다할 때까지 아들의 유언을 지키는 데 한 치의 흐트러짐도 없었다. 매일노동뉴스는 이소선 여사 3주기를 맞아 <이소선 평전-어머니의 길>을 연재한다. 저자 민종덕 전 전태일기념사업회 상임이사는 1990년 이소선 여사 회갑 즈음에 구술을 받아 평전을 집필했다. 당시 1979년의 삶까지 담았는데, 이번에 그 이후 삶을 보강할 예정이다. 평전은 오마이뉴스와 동시에 연재된다.<편집자>

생활이 어렵다 보니 남편은 점점 더 술을 가까이했다. 피복상 할아버지는 남편을 불러다 놓고 많은 충고를 해 줬다.

“전군, 젊은 사람이 술을 그렇게 많이 마시면 안 되네, 부인이 저렇게 착실하게 살려고 애쓰는데 전군이 그러면 되나.”

할아버지가 타일러도 별 효과가 없었다. 남편은 날이면 날마다 술병을 입에 달고 다녔다. 다행히 남편은 그런 와중에서도 미군부대에 일자리를 얻었다. 이소선네는 자갈치시장을 나왔다. 산비탈로 올라가서 천막을 치고 그곳에서 생활을 시작했다. 이소선은 둘째를 낳은 지 얼마 안 됐지만, 먹고살기 위해서는 일을 해야만 했다. 남편의 일을 거들어 미군부대에서 군인들의 옷을 세탁해 주면서 생활을 꾸려 나갔다. 그렇게 입에 풀칠하기 바쁘게 살아가고 있었다.

그런데 어떻게 알았는지 어느 날 시아버지가 찾아왔다. 시아버지는 남편을 불러다 놓고 대뜸 호통부터 쳤다. 어린 손자들과 며느리가 땅바닥에서 자고 있으니 그 속이 오죽했겠는가. 더구나 몸을 푼 지 얼마 되지도 않은 며느리가 아기들을 데리고 그 험한 빨래를 하고 있었으니.

“네놈이야 어디 가서 무슨 고생을 하든지 하겠지만, 산모가 이게 무슨 고생이냐?”

보다 못해 태일이를 데리고 간 시아버지

시아버지는 두 눈 뜨고 차마 못 보겠는지 이소선을 데리고 대구로 가려고 했다.

“이놈아, 고생을 하려면 너 혼자 하지 며늘아기가 무슨 죄가 있다고 이 생고생을 시키느냐 말이야.”

그때 옆에서 듣고 있던 태일이가 손가락을 꼼지락거리더니 앞으로 나섰다. 마치 아버지 전상수의 잘못을 지적하는 것 같았다. 이 모습을 보고 있자니 기가 막힐 노릇이었다. 이소선은 도저히 시아버지를 마주 볼 수가 없어 절로 고개를 숙였다. 세 살밖에 안 된 어린애가 아버지의 잘못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다니!

시아버지는 태일이를 데리고 대구로 갔다. 대구로 올라간 태일이는 그곳에 오래 있지 못했다. 산비탈 움막집이 그리웠던 것이다. 할아버지 팔에 매달리며 부산에 가고 싶다고 졸랐다. 할아버지는 고생만 할 터이니 대구에 있으라고 아이를 달랬다.

“얘야, 집도 제대로 없는 부산에는 뭐 하러 갈려고 하노.”

“아버지가 보고 싶어요.”

“그건 또 무슨 말이가. 매일 술만 퍼마시는 아버지가 뭐 그리 보고 싶다는 게야? 어머니가 보고 싶은 게 아니고?”

“그래도 아버지가 보고 싶어요.”

‘아버지가 보고 싶기도 했겠지만 속마음에는 엄마가 더 보고 싶었을 테지. 어린 것이 어떻게 아버지가 보고 싶다고 말을 할 수가 있을까.’

할아버지는 손자의 마음을 알았지만 고생시키고 싶지 않아 떼를 써도 기어이 태일을 붙잡아 뒀다.

하루는 태일이가 밤에 잠을 자다가 일어나더니 몸이 아프다고 했다. 몸에 열이 나고 정상이 아니었다. 밥도 제대로 먹지 않고 시름시름 앓기만 했다.

‘어린 것이 부모가 얼마나 보고 싶으면 저 지경일까.’

시아버지는 태일이를 데리고 부산으로 다시 내려왔다.

“나는 아무리 밥을 못 먹어도 엄마 곁에 있고 싶다.”

부산에 온 태일이가 어머니를 보더니 던지는 첫마디였다. 이소선이 가만히 들여다보니 태일은 아픈 것이 아니라 부산에 오기 위해 꾀를 부린 것이었다.

“엄마가 너무 보고 싶어서 할아버지께 부산에 가겠다고 했다. 그런데 할아버지가 대구에 그냥 있으라 안 하나. 그래서 밤에 몸이 아프다고 하고 다음날 밥을 안 먹었더니 부산에 데려다 주더라.”

꾀를 내 부산에 돌아온 태일, 술 끊은 아버지

태일은 어릴 때부터 어머니와 아버지, 동생들에 대한 애착을 갖고 있었다. 이런 일을 겪은 뒤 남편은 마음을 잡았다. 술을 마시지 않았고, 그럴 때면 일을 참 잘했다.

남편이 술을 줄이고 일에 열심히 매달린 덕택에 생활이 좀 나아졌다. 산비탈 천막촌을 나와 범일동에 방을 하나 구했다. 이제 먹을 것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태일이가 다섯 살쯤 됐다. 둘째 태삼이도 세 살이 됐다. 먹을 것 걱정을 면하고 살 만해지자 이소선은 시장에 가서 갈치를 한 마리 사 왔다. 아이들에게 고기를 사 먹인 게 언제인지 까마득했다.

어머니는 양념을 골고루 버무리고 쪄서 냄비째로 아이들이 있는 방안에 넣어 줬다. 부엌에서 일을 하다가 한참 있다 들어가 보니 남아 있을 줄 알았던 갈치가 뼈다귀만 앙상하게 몇 조각 흩어져 있었다. 이소선은 뼈다귀만 널려 있는 냄비를 보는 순간 아찔한 어지럼증이 일었다.

‘내가 저 자식들을 잘 키워 보려고 이 고생을 하고 있는데 이게 뭔가. 자식들이 저 모양이 되다니.’

이소선은 어찌하나 보려고 다음날 갈치를 또 한 마리 사 가지고 왔다. 이소선은 아이들이 밖에서 놀고 있는 것을 보고 방안에서 혼자 갈치를 먹었다. 갈치를 먹고 있는데 아이들이 들어왔다. 그래도 엄마는 모른 척하고 갈치를 맛나게 먹어 치웠다. 태일이와 태삼이가 문지방에 걸터앉아 두 눈을 빤히 뜨고 쳐다보고 있었다.

엄마는 아이들을 쳐다보지도 않고 입맛까지 다셔 가며 더욱 맛있게 먹었다. 아이들의 눈치를 얼핏 살피니 눈동자가 이상했다. 어린 저희들이 생각해도 엄마가 저럴 리가 없는데 어떻게 된 걸까 하는 표정이 역력했다.

갈치의 살점이 줄어 갔다. 엄마는 아이들에게 아는 척도 하지 않고 천연덕스럽게 앉아서 갈치에 손을 가져가고 있었다. 갈치가 줄어드는 것을 못 참겠는지 태삼이의 몸이 꿈틀거렸다. 형인 태일이의 눈치를 살피더니 어찌할 바를 모른다.

태일이는 태삼이의 손을 붙잡으며 아무 말도 못하게 했다. 태삼이는 갈치가 너무 먹고 싶었는지 눈물까지 글썽이며 몸을 뒤틀고 야단이었다. 더 이상 그냥 있으면 태삼이가 울어 버리기라도 할 것 같은지 태일이가 동생을 데리고 밖으로 나가 버렸다.

우리만 갈치를 다 먹어서 엄마가 혼내는 거다”

“태삼아, 어제 우리만 갈치를 다 먹어서 엄마가 우리 혼내 주려고 그런다.”

문을 열고 가만히 내다보니 태일이가 태삼의 귀에다 대고 속삭이고 있었다. 엄마는 그 아이들이 소곤거리는 얘기를 다 들었다.

‘저놈들이 내가 왜 이러는지 이제야 그 까닭을 알았겠지.’

엄마는 그때서야 방문을 열고 밖에서 쭈그리고 앉아 있는 아이들을 불렀다.

“너희들 사람 만들려고 그러는 거야.”

“얘 태일아, 너희들이 어제 갈치를 너희끼리만 다 먹어 버렸지? 너희들이 그러니까 엄마도 이제부터는 뭐든지 엄마 혼자 먹어야겠다.”

“엄마, 잘못했어요.”

태일이가 동생을 일으켜 세우더니 머리를 숙이고 가만히 서 있었다.

“사람이 그러는 거 아니다. 나눠 먹는 것이 사람의 도리다. 먹을 것이 생기면 아버지·어머니 드실 것을 먼저 마련해 놓은 다음에 너희들이 먹는 것이다. 아무리 어려워도 그렇게 하면 안 된다. 어미가 너희들 먹는 게 아까워서 그러겠느냐? 너희들 사람 만들려고 그러는 거지. 우리가 좋은 환경에서 살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너희들은 나중에 훌륭한 사람이 돼야 한다. 알아듣겠지?”

“다시는 안 그러겠어요.”

태일이는 아직도 고개를 들지 못했다.

그 일이 있고 난 다음에는 정말로 자기 혼자만 먹는 그런 일은 하지 않았다. 밖에서 놀다가도 먹을 것이 생기면 꼭 집으로 가지고 들어왔다.

민종덕 전 전태일기념사업회 상임이사

<계속 이어짐>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