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3일은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 이소선 여사가 영면한 지 3주기가 되는 날이다. 1970년 11월13일 서울 청계천 평화시장에서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고 외치며 분신한 전태일 열사는 어머니에게 “내가 못다 이룬 일을 어머니가 대신 이뤄 주세요”라는 마지막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이소선 여사는 2011년 9월3일 목숨을 다할 때까지 아들의 유언을 지키는 데 한 치의 흐트러짐도 없었다. 매일노동뉴스는 이소선 여사 3주기를 맞아 <이소선 평전-어머니의 길>을 연재한다. 저자 민종덕 전 전태일기념사업회 상임이사는 1990년 이소선 여사 회갑 즈음에 구술을 받아 평전을 집필했다. 당시 1979년의 삶까지 담았는데, 이번에 그 이후 삶을 보강할 예정이다. 평전은 오마이뉴스와 동시에 연재된다.<편집자>


19살에 결혼한 이소선은 모든 서러운 생활을 청산하고 단란한 가정을 꾸려서 어떠한 역경에 부딪친다 해도 이를 극복하면서 살아가리라 굳게 다짐했다. 고난보다는 행복이 있을 것을 빌며 고통이 따를 것이라는 생각은 아예 하고 싶지 않았다.

큰집에서는 피복가게를 열어 제품을 내다 팔았고 남편은 집에서 옷을 만들었다. 생활은 그럭저럭 어렵지 않게 꾸려 나갈 수 있었다. 분수에 맞지 않는 바람보다는 작은 꿈을 키워 나가며 어느 정도 살아가는 즐거움도 가질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작은 즐거움 속에 고난의 불씨가 자라고 있을 줄이야….

남편이 벌인 일은 수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고

남편은 제법 옷이 잘 팔리자 능력 이상으로 여기저기에 일을 벌여 놓았다. 급기야 수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점점 빚더미가 쌓여 사업이 어려워지는가 싶더니, 언제부터는 큰집까지 넘보며 못살게 구는 것이었다.

이소선은 남편의 행동을 보면서 부끄러워서 살 수 없다는 생각까지 했다.

6·25 전쟁 직전 무렵이었다. 고향인 대구에서 도망가다시피해서 부산으로 갔다. 태일이는 겨우 3살이었고 뱃속에는 둘째가 발길질을 하고 있었다.

남편은 억지로 소선을 데리고 부산까지 왔으나 마땅히 갈 곳을 정하지 못했다. 이들은 사람들이 들끓는 자갈치시장으로 무작정 걸음을 옮겼다. 그곳은 갈 곳이 없는 사람들이 발길 내키는 대로 모여드는 곳이기도 했다. 자갈치시장은 행상백화점이라 할 정도로 온갖 종류의 장사꾼들이 복작거리고 있었다.

막상 자갈치시장에 발을 들여놓기는 했지만 남편과 이소선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아무것도 없었다. 수중에 가진 돈 한 푼 없이 무슨 일을 할 수 있겠는가. 참으로 막막했다. 시장 바닥은 물건을 사고파는 사람들로 북적이고 있었지만 이들은 그저 거리에 내동댕이쳐진 비렁뱅이나 다름없었다.

남편은 좌판과 행인들 틈바구니를 한참이나 쏘다니더니 이소선에게 어느 길모퉁이에서 기다리라는 말을 툭 던지고는 사라져 버렸다.

이소선은 세 살짜리 태일이를 업고 남산만 한 배를 한 채 자갈치시장 후미진 구석에 자리를 잡았다. 칭얼거리는 태일이도 그렇지만 잔뜩 부른 배를 하고 사람들이 붐비는 시장바닥에 멀거니 서 있기란 여간 고역이 아니었다.

그래도 시간은 흘러갔다. 한 시간,두 시간…. 아무리 기다려도 남편은 나타나지 않았다. 남편이 사라진 골목을 눈이 빠지도록 지켜봤지만 결국 그날 밤을 그런 몸으로 길바닥에서 꼬박 새웠다. 아침이 뿌옇게 밝아오도록 아무것도 먹지 못하고 쫄쫄 굶었다. 가진 돈이 한 푼도 없었다. 가진 돈이라고 해 봐야 얼마 없었는데, 그나마도 남편의 주머니에 있었다. 배고픔에 지쳐 울기에도 지쳐 버린 태일을 끌어안고 한데서 날밤을 새웠으니….

기다리라는 말만 하고 자취를 감춘 남편

다음날 정오쯤이었다. 주린 배를 움켜쥐고 골목에 지쳐 쓰러져 있는데 남편이 나타났다. 이소선은 남편이 이끄는 대로 식당으로 갔다. 식당에 들어가자마자 태일이에게 밥을 떠먹였다. 아이는 콧물이 입으로 들어가는지도 모르고 허겁지겁 밥숟갈을 놀리기에 정신이 없었다.

남편은 별다른 말을 하지도 않고 그 골목에서 기다리라는 말만 하고 또다시 자취를 감췄다. 이소선은 남편이 기다리라고 해서 골목을 벗어날 수가 없었다. 태일을 업었다가 걷게도 하면서 골목 안을 맴돌았다. 시장 바닥에서 멀리 가지도 못하고 남편이 오기를 기다렸다. 열흘이 넘도록 남편이 나타나기를 기다리면서 골목 안에서 잠을 잤다.

그러던 어느 날 밤이었다. 싸움박질 같기만 하던 시장의 하루가 끝난 뒤 밤하늘에 별이 총총히 떴다. 잠들었던 태일이가 눈을 뜨더니 이소선에게 물을 달라고 했다. 이소선은 태일이를 달래면서 주위를 휘둘러봤다. 장바닥은 고요했다.

가게는 전부 문을 닫고 깊은 잠에 빠져 있었다. 아무리 근방을 둘러보아도 물을 먹을 만한 곳이 눈에 띄지 않았다. 할 수 없이 바닷가까지 태일을 들쳐 업고 갔다. 이소선은 신발을 벗어 깨끗하게 씻었다. 신발에 물을 떠서 태일이 입에 갖다 대줬다. 태일이는 물을 조금 마시는 듯하더니 이내 손을 내저었다.

“엄마는 나빠, 물 달라고 하는데 와 이리 맛이 없는 물을 주노.”

이소선은 아이한테 그 말을 듣고 할 말을 잃었다. 눈물도 메말라 한숨밖에 나오지 않았다. 사람들이 잠든 이 밤에 어디에서 물을 구한단 말인가. 이소선은 신발을 손에 들고 넋이 빠진 듯 졸음을 가득 베어 문 태일이의 눈을 바라봤다. 태일이는 그래도 신발에 담긴 물을 몇 모금 더 마시더니 잠에 빠져들었다.

이런 생활을 열흘쯤 한 끝에 남편이 자갈치시장 피복상에 취직했다. 다행히 피복상 주인은 마음씨가 좋은 할아버지였다. 장사는 대충 오후 10시쯤 끝났다. 피복상 할아버지의 배려로 장사가 끝나면 가게에서 잠을 잘 수가 있었다. 비록 마룻바닥이었지만 궁전보다 훨씬 좋았다. 이제는 하염없이 길에서 기다리지 않아도 됐다. 한뎃잠이 아니라 방에서 잘 수 있다는 것에 얼마나 만족스러워했는지 모른다.

새벽 6시면 할아버지는 어김없이 가게 문을 열었다. 이소선 모자는 할 수 없이 낮에는 골목길을 배회하면서 지내야 했다. 그래도 생활의 근거지가 정해진 이상 이소선도 차차 돌아다닐 수 있게 됐다.

이소선은 몇 달 동안이나 길바닥 먼지구덩이에서 뒹굴고, 때로는 비까지 그대로 맞으며 살다 보니 머리가 가려워서 못살 지경이었다. 이소선은 남편에게 참빗 하나 사 달라고 했다. 그래서 참빗은 마련했으나 머리를 빗을 적당한 장소가 없었다.

사람들이 정신없이 오가는 시장바닥에서 머리를 빗을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태일이 손을 잡고 사람들이 뜸한 곳을 찾아 나섰다. 사람들이 안 다니는 곳을 찾기 위해 시장을 벗어나 무작정 걸었다. 무작정 길을 따라가면 사람이 없는 곳이 나오겠거니 하는 생각에서였다.

“엄마, 아기 바닷물에 던져 버려”

시장을 지나 도심을 벗어나니 한적한 고개가 나왔다. 어디가 어딘지도 모르는 그 고개에서 몇 달 동안 빗질 한 번 못한 머리에 손을 댔다. 머리에 손을 얹고 빗질을 하니 이가 주르륵 쏟아지는 것이 아닌가. 자신의 몸에서 나오는 것이지만 소름이 끼칠 정도였다.

머리를 빗고 오던 길로 돌아왔다. 그날 밤 11시59분쯤 그 피복가게에서 둘째를 낳았다. 1950년 6월15일이었다. 아기를 낳긴 했지만 준비해 둔 것이 아무것도 없었다. 이웃집에 있는 사람이 쌀밥에 미역국을 끓여서 왔다.

뱃속에 있던 아기를 낳았지만 내일 아침이면 또 어딘가로 몸을 내맡겨야 하는가를 생각하니 걱정부터 앞섰다. 다행히 다음날 아침에 할아버지가 찾아와서 앞으로 일주일간 장사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었다. 자기 가게에서 아기가 탄생했으니 어렵더라도 함께 기뻐해야 할 일이라는 것이다.

피복집 주인 할아버지는 자갈치시장에서 장사하는 사람치고는 양심적이고 인정이 넘치는 사람이었다. 할아버지 덕분에 일주일쯤 몸조리를 하고 나니 그런대로 살만 했다.

아기를 낳아 기르니 기저귀가 엄청나게 쏟아졌다. 그런데 기저귀를 빨아서 널 만한 곳이 없었다. 어쩔 수 없이 기저귀를 손에 들고 태일이와 함께 시장바닥을 이리저리 걸어다니면서 말렸다. 어느 날 태일이가 엄마를 보더니 천연덕스럽게 말했다.

“엄마, 아기 바닷물에 던져 버려. 그러면 엄마 고생 안 할 거 아니가.”

아무리 어린 나이지만 태일이의 말을 듣는 순간 등에서 소름이 돋았다. 세 살밖에 안 된 어린 자식의 눈에도 어미 꼴이 너무 고생스럽게 보였나 보다. 어미에 대한 강렬한 사랑이 아기를 물에 던져 버리면 하는 것으로 나타나다니 기가 찰 노릇이었다.

“태일아, 그러면 안 된다. 아기도 살라고 나왔는데 물에 던지면 되나. 뒤에는 그런 말 하지 마레이.”

이소선은 쓰린 가슴을 달래며 조용히 타일렀다. 태일이는 말귀를 알아들었는지 눈을 둥그렇게 뜨고 고개를 까딱거렸다. 다시는 그러지 않겠다고 손가락을 걸며 맹세했다. 그러한 생활의 연속이었다.

민종덕 전 전태일기념사업회 상임이사

<계속 이어짐>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