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제도개혁과 관련해 재정적 측면에서 급여율과 보험료율을 조정하는 데 급급해 보장성이 떨어지고 가입자 신뢰도 동반 추락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국민연금 개혁의 초점을 소득대체율을 높이는 데 맞춰야 한다는 지적이다.

양대 노총이 참여하고 있는 국민연금 바로세우기 국민행동(연금행동)은 19일과 20일 이틀간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민연금 정책 워크숍'을 진행한다. 이번 워크숍은 연금행동이 발족 당시 제시한 11대 정책과제를 관철하고 연금기금 운용과 지배구조 등 국민연금을 둘러싼 전반적인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워크숍 첫날인 19일 '국민연금 제도개혁-급여수준·사각지대·보장성 강화' 세션에서 발제를 맡은 제갈현숙 사회공공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국민연금은 40년 가입을 전제로 소득의 40%를 보장하는 형태로 설계돼 있다"며 "현실에서는 가입기간 20년을 넘기기 힘들어 실질적인 소득대체율이 20%에 머무는 실정"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국민연금 제도개혁은 20%에 그친 낮은 소득대체율 문제를 해결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연금 사각지대 해소도 시급한 과제다. 지난해 말 현재 경제활동인구 대비 국민연금 소득신고자 비율은 68.5%, 보험료 납부자 비율은 63.5%에 불과하다. 특히 국민연금 적용대상자 대비 보험료 납부자 비율은 43.2%밖에 안 된다.

제갈 연구위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은 평균적으로 연금이 도입된 지 40년 정도 성숙기간을 거치면 수급률이 90%를 상회하는데 우리나라는 국민연금 도입 40년이 되는 시점(2028년)에 겨우 37.6%, 60년이 되는 2048년에는 65.6%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