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모없는 자격증이 너무 많다.

산업구조 변화와 기술발전을 따라잡지 못해 무용지물이 됐거나, 공급과잉으로 취업에 도움이 되지않는 자격증들이다.

그런데도 취업난에 편승, 이들 자격증들은 '100% 취업보장'이라는 과장선전으로 실업자와 미취업자들의 금쪽같은 돈과 시간을 축내고 있다.

정부예산에서도 연간 수백억원씩이 쓸모 없는 자격증 관리용도로 낭비되고 있다.

노동부에 따르면 현재 발급되는 자격증은 산업인력공단과 대한상의가 위탁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증 600여개, 민간협회 자격증 400여개 등 초 1,000여개. 이중 국가기술자격시험에만 IMF 외환위기 이후 3년간 무려 1,354만명(중복 응시자 포함)이 응시해 424만명이 합격했다.

국민 3,5명당 1명꼴인 엄청난 응시율이다.

하지만 이들 자격증 태반이 수첩이나 액자 속에서 사장돼 있다. 정부산하기관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조차 절반은 당장 정리돼야할 종목으로 꼽고 있을 정도.

1984년 도입된 판매관리사는 유통혁신을 따라잡지 못해 유용성을 상실한대표적 사례. 업체마다 첨단 관리 시스템을 도입, 관련 인력을 줄여가고있는 형편이지만 지금도 유망 자격증으로 포장돼 매년 1만명 이상의 응시생을 끌어들이고 있다.

항공분야에도 국가기술자격증이 9종목이나 되나 채용시 고려되는 것은 거의 없다. 기술 발전을 반영치 못해, 업계 요구수준과는 거리가 멀다는 게이유. 심지어 광산개발이 거의 중단됐음에도 불구, 70년대 만들어진 18개광업관련 자격증도 여전히 실직자들을 현혹하고 있다.

정부가 '자격증 맹신현상'을 부추겨 오히려 구직의지를 꺾는 것도 문제. 지난해 정부가 "노동부 취업정보센터 등에 대거 채용하겠다"며 만든 직업상담사는 합격자 2,241명(3만5,000명 응시)중 500여명만 직업 상담원으로일하고 있을 뿐이고, 한때 병역특례까지 추진돼 2년간 12만명이 응시 (합격자 1만명)한 전자상거래관리사도 취업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경희대 취업정보실 이종구 겸임교수는 "현재 자격증들중 70~80%는 쓸모없는 '장롱 자격증'"이라며 "기능을 상실한 자격증을 대거 정리하고, IT(정보기술) 분야 자격증 위주로 체계를 전면 재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