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을 밀어붙이고 계시는 박근혜 정부에 정책 제안을 하려고 합니다. 4대 사회보험에서 비정상(非正常)을 정상화했으면 좋겠습니다.

정부는 1988년 국민에게 국민연금 가입을 강권했습니다. 노후를 생각하라면서요. 십수 년이 지나자 말을 바꿨습니다. 혜택을 줄이고 부담을 늘리겠다는 겁니다. 국민은 정부가 시키는 대로 보험료를 낸 죄밖에 없었습니다. 비정상입니다.

같은 사안으로 유럽은 온 나라가 들썩였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이상하리만치 조용하게 넘어갔습니다. 지금도 왜 그랬을까 생각합니다.

정부는 1977년 의료보험(건강보험)을 실시했습니다. 1990년대부터는 적용대상을 모든 사업장으로 확대했습니다. 매달 월급쟁이들의 유리지갑에서 수만원에서 수십만원의 돈이 빠져나갑니다. 돈 많이 버는 사람들이 보험료를 많이 냈으면 좋겠는데, 그건 안 된답니다. 세금이 아닌 사회보험이라서 상한선이 있다네요.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보험료를 더 내고 싶어도 못 낸다는 말입니다. 건강보험 적용이 안 되는 질환이 얼마나 많은데. 오히려 정부의 관심은 딴 데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비영리법인인 병원이 영리자회사를 둘 수 있도록 허용한다고 난리입니다. 사람 목숨을 다루는 병원이 장사를 하다니. 비정상입니다.

정부는 1995년 고용보험을 시행했습니다. 일을 쉬어도 일정 기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다고 선전했지요. 한데 회사에서 잘리지 않고 스스로 그만두면 실업급여를 주지 않습니다. 웃기는 건 노사가 모은 고용보험기금을 정부가 관리한다는 사실입니다. 관리를 넘어 주인처럼 생색을 내고 공치사까지 합니다. 비정상입니다.

1964년 가장 먼저 시행된 산재보험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사업주들이 낸 돈을 정부가 갖다 씁니다. 게다가 보험료를 부과하는 공공기관이 보험금을 책정합니다. 흑자를 내려면 보험료를 많이 걷고 보험금을 덜 주면 된다는 얘기입니다. 비정상입니다.

정부는 4대 사회보험을 도입하면서 국민을 강제로 가입시켰습니다. 그러면 책임을 져야지요. 국민은 정부가 주는 연금으로 최소한의 노후를 꾸리고, 돈 걱정을 덜면서 병원에 다니고, 일자리를 잃더라도 실업급여를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그게 정상(正常)이고, 정상화입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