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의 비정규직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은 건설업과 도소매·음식숙박업 등에서 고용조건이 열악하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채준호 전북대 교수(경영학부)를 비롯한 연구팀이 ‘전북지역 비정규직 고용실태와 제도개선방안 연구’를 벌여 16일 오후 노사발전재단 차별없는일터지원단 전북사무소(소장 민왕기)가 주최한 관련 토론회에서 발표한 결과다.

올해 3월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전북지역의 비정규직 비율은 38.8%로 전국 평균(32.3%)을 웃돈다. 연구팀은 “전북지역 전체 비정규직 중 건설업 종사자가 14.6%, 도소매·음식숙박업 종사자가 23.3%를 차지했다”며 “건설 비정규직 전국 평균(11.7%)이나 도소매·음식숙박업 비정규직 전국 평균(18.7%)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고 설명했다.

전북지역 농업어업 분야 비정규직 비율(4.8%)도 전국 평균(1.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업종에 비정규직이 집중되면서 전북지역의 비정규직 비율이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한편 전북지역 비정규 노동자들은 스스로가 겪는 차별에 대해 시정을 요구할 의향이 지극히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이 고용노동부의 고용형태별 근로자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해 전북지역 비정규직의 동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차별시정을 요구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한 건도 없었다. “차별시정을 요구할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69.7%에 달했다. 이같이 답한 이유로는 “사용자로부터의 불이익을 당할까 봐”(39.6%), “차별시정이 될 것으로 기대하지 않아서”(38.3%), “절차를 잘 모르기 때문”(22.1%) 순으로 나타났다.

전북지역 비정규 노동자 중 정규직 전환을 희망하는 비율은 39.8%로, 전국 평균(55.1%)을 한참 밑돌았다. 2010년 4월 고용형태별 근로자패널 1차조사 시점부터 2년 후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율은 7.7%였는데, 울산(7%)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낮았다.

연구팀은 “정규직 전환 가능성이 크지 않을뿐더러 설사 정규직으로 전환되더라도 여전히 불안정한 고용상태가 계속되고, 노동조건이 열악해 자발적으로 노동시장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큰 데다 노동시장에서 한 번 이탈하면 재진입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