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 첨단 인력관리 및 노무관리 제도를 도입하고 있는데 노동조합은 주먹구구식으로 인력관리를 하고 있다. ”

한국노동사회연구소가 최근 발간한 ‘노동조합 상근 간부의 형성 전략’ 보고서가 노조가 상근 간부의 전문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지적해 관심을 끌고 있다. 노조의 인력 관리를 본격적으로 다룬 보고서는 처음이다.

지난해 7월 현재 민주노총 중앙본부에 근무하고 있는 상근 간부는 50명이며 지역 본부에서 일하는 상근 간부는 약 110명. 한국노총 중앙본부에는 112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들은 노조의 산별화 움직임과 더불어 상급단체의 역할이 증대하면서 조합원의 이해를 대변하고 정책을 개발하는 중요한 기능을 맡고 있다.

이 보고서는 노조는 임금체계 인사관리 조직문화 교육훈련 등의 모든 측면에서 낙후돼 있고 간부들의 전문성이 떨어진다고 질타했다. 우선 많은 노조가 신규 인력을 비공개 또는 연고 형태의 충원 방식에 의존하고 있으며 간부들이 월급만으로 생계 유지가 어려워 이직하는 비율이 늘고 있다. 한 상근 간부는 “연맹 예산으로 필요한 인력을 채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노조는 또 간부들을 연수할 기회가 거의 없으며 여직원의 직무능력 개발은 더욱 힘들다.

임원 선거 등을 둘러싼 조직 내부의 ‘정치’ 로부터 자유롭지 못해 업무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힘들다는 것도 큰 문제로 지적됐다. 실제 올초 민주노총위원장 선거 직후에도 상근 간부의 임명을 놓고 잡음이 일기도 했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해 “상근 간부들이 노조의 선거에 개입하거나 관여하지 못하도록 인사규정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노조 임원들이 계파에 따라 상근 간부를 인선하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앙대 이병훈(李秉勳·사회학) 교수는 “전문성과 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적인 장치와 교육훈련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상근 간부 개인은 물론 노조 자체도 심각한 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