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훈 기자

양대 노총 위원장들에게 올해는 시련의 한 해였다. 한 명은 정치방침 갈등으로, 또 한 명은 임원직선제 논란에 밀려 위원장직을 내려놓았다.

지난해 1월 한국노총 임원선거 1차 투표에서 선거인단 과반의 지지를 받고 당선되며 파란을 일으켰던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은 당선 1년6개월 만에 정치방침에서 비롯된 조직갈등으로 사퇴했다.

한국노총은 지난해 3월 정기대의원대회에서 한나라당(현 새누리당)과의 정책연대 파기를 선언하고, 같은해 12월 열린 임시대의원대회에서 ‘야권통합정당(민주통합당)으로의 지분참여’를 결정한 뒤 내홍을 겪어 왔다. 정치방침에 따라 민주통합당을 지지하는 세력과 새누리당과의 친분을 유지하려는 세력으로 쪼개진 것이다.

그런 가운데 4·11 총선에서 민주통합당이 패배하면서 이용득 집행부의 정치방침은 힘을 잃어 갔고, 산별·지역 대표자들의 사퇴압박이 거세졌다. 결국 이 위원장은 7월23일 “영원한 한국노총맨으로 남겠다”는 말을 남기고 위원장직에서 물러났다.

민주노총 임원선거 때마다 불거진 직선제 논란은 결국 임기를 두 달여 남겨 두고 있었던 김영훈 위원장을 사퇴로 이끌었다. 김 위원장은 ‘직선제 준비부족’을 이유로 9월26일 임시대의원대회에서 연말로 예정된 임원직선제를 3년 유예하는 안을 제출했다. 하지만 성원미달로 대의원대회가 유회되자 직선제 실시를 주장하는 일부 의견그룹들로부터 사퇴압박을 받았다. 이후 김 위원장은 ‘위원장직 사퇴’를 내걸고 직선제 유예안 가결을 호소했다.

10월30일 열린 임시대의원대회에서 진통 끝에 직선제 유예안은 가결됐지만 김 위원장은 “직선제를 집행하지 못한 것에 대한 가장 무거운 책임을 지겠다”며 11월7일 사퇴했다. 그러나 당시 대의원대회에서 대의원 투표관리가 부실했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직선제 유예안은 무효화됐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