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의 홍수 예방효과를 두고 정부와 시민단체가 엇갈린 주장을 내놓으며 공방을 벌이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25일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기후변화에 대비해 약 200년 빈도의 대규모 홍수에도 안전하도록 본류의 홍수조절능력을 키우는 것"이라며 "올해 태풍 내습 때 본류 홍수위 저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홍보했다.

최근 4개의 태풍이 한반도를 상륙해 많은 비를 뿌렸지만 홍수피해가 예년에 비해 크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이어 "본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4대강 본류 제방이나 제방을 경계로 마을 쪽의 침수피해는 없었다"며 "본류에 연결된 지류의 수위도 함께 낮아져 물 흐름이 원활해졌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환경단체들의 분석 결과는 달랐다. 지난 21~23일 사흘간 4대강 사업 낙동강 현장점검을 실시한 4대강복원범대위는 26일 "낙동강 본류뿐 아니라 지류에서의 홍수피해가 특히 컸다"며 정부와 상반된 분석 결과를 내놨다. 범대위에 따르면 태풍 산바로 인해 고령군·성주군·김천이 지천 제방이 터지거나 강물이 역류해 침수됐다. 딸기밭과 오이하우스가 물에 잠겨 농작물 피해도 컸다.

범대위 관계자는 "합천창녕보로 인해 낙동강 물 흐름이 정체돼 불어난 강물이 지천 제방을 터트렸다"며 "경상도지역의 초대형 물폭탄의 원인은 4대강 사업의 결과물"이라고 말했다.

범대위는 27일 '4대강 사업, 홍수예방효과 달성되었나'라는 제목의 기자회견을 열고 보 안정성 문제와 지천 홍수피해 문제를 지적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